식품으로는 금지된 유전자 조작 옥수수를 수입해 식품으로 만들어 팔거나, 식품원료로 공급한 업체들이 적발 됐다는 소식은 우리에게 안심하고 먹을 것이 무엇이냐는 물음을 던져 준다.먹고 살기 위해 잔꾀로 소비자 눈을 속이는 영세업체도 아니고, 대기업군에 속한 대표적인 식품 업체들이 저지른 일이어서 더욱 배반감을 느끼게 된다.
그들은 문제의 옥수수가 식품으로는 금지돼 있다는 것을 알고 공업용이나 사료용으로 쓰겠다는 조건으로 수입 허가를 받아, 빵가루 식용유 같은 제품을 만들어 수십 톤을 유통시켰다.
이미 방방곡곡 말단 유통업체에 까지 퍼져버려 회수도 할 수 없다니 그 제품을 사먹은 소비자들만 피해를 입게 됐다.
그런데도 당국의 조치는 겨우 영업정지 2개월이라는 솜방망이다. 더구나 문제의 단백질 성분이 물에 녹아 없어지기 때문에 인체에 해를 줄 우려가 없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그렇다면 왜적발해 발표를 하며, 미국 환경청이 사료용 공업용으로 용도를 제한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유전자 조작 농산물은 오랜논란 끝에 인체에 해로운 쪽으로 결론이 나 우리 정부도 최근 제품에 조작사실을 표기하도록 결정한 바 있다.
유럽 다국적 기업이 병충해 내성을 강화하기위해 개발한 이 옥수수는 소화를 지연시키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우려가 있는 Cry 9C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98년 식품으로 금지되었는데, 이의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개발업체가 종자등록을 취소해 재배가 끊긴 품종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는 유해식품행정을 더욱 체계화 전문화하기를 촉구하고 싶다.
생산지의 국내외를 막론하고 농약 방부제 유해첨가물 등으로 오염된 식품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지키려면,지금의 체제로는 안 된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주요 수입국에 전문인력을 파견해 현지에서 안전성을 점검하고 정보를 수집해 식품수입 행정에 참고 해야한다. 그리고 식품 안전 검사와 동식물 건강검사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기구를 늘려 검사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아울러 식품 종류와 성격 별로 각 기관에 분산돼 있는 식품행정 주체를 통일해 체계적이고 일관된 행정을 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