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 위기는 정부와 서울대가 자초한 것이다. 서울대가 국내 여느 대학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특혜’를받으면서 자만에 빠져 버렸고, 정부가 이를 부추겨 왔기 때문이다.”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S대의 권모 교수는 “서울대가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서울대 구성원 모두가 뼈를 깎는 자성을 선행해야 한다”면서 “정부도입시와 학사행정 등 대학의 거의 모든 업무를 사사건건 통제하려 하지 말고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우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가 돈을 부담하는 국립대를 언제까지 유지할 것인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때가 됐다”면서 “지방자치시대에 발맞춰 서울대를 시립대학화 하는 방안도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말했다.
경북대 강모 교수는 “서울대는 다른 국립대와 비교 할 때 교수 1인당 학생 수 등 교육여건은 물론, 각종 연구지원비도 최소한 3,4배 이상 받고 있다”면서“일부 국립대의 경우 우리도 서울대 만큼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 서울대를 따라 잡을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고 말했다.
서울대 내부에서조차 “교육당국이 학생선발에지나치게 관여한다” “꼭 필요한 교수조차 증원할 수 없다” “교육정책이 정치논리에 휩쓸려 이미 약속한 계획도 없는 일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등의 볼멘소리가 여기저기서 흘러나오는 것은 서울대가 처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서울대가 오랫동안 정부의 ‘특혜성’ 지원을 받다 보니 경쟁논리와 사회의 수요를 받아들일 만한 체질개선을 이루지 못한 채 관료주의화 해버렸다는 지적도 많다.
S대권 교수는 “서울대 교수들의 폐쇄적인 학문이기주의 경향과, 수많은 학생들이 고시공부에 매달리는 등 캠퍼스가온통 취업을 위한 ‘입사지원센터’화 한 현실을 시급히 바로 잡아야 한다”고말했다.
서울대가 ‘일류병’에서 하루빨리 탈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최돈민(崔燉珉) 박사는 “서울대가 제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예산과 교육비가 많이 들고 효과가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기초ㆍ응용과학 등의 분야를 집중 육성해야 하며, 예ㆍ체능계 등은 다른 대학에 맡기는 등 모든 분야에서의 일류지향성을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 했다.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대학원(박사과정)의 내실화에도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상당수 서울대 교수들은 열악한 연구환경 때문에 사적인 루트를 통해 연구용역을 맡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 이에 따라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과 무관하더라도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교수들의 수탁연구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
이런 악순환이 반복됨에 따라 우수한 인재들이 외국 대학으로 앞 다퉈 빠져 나가고,심지어 서울대 교수들 조차 자신이 지도한 박사를 신뢰하지 않기도 한다.
교육 전문가들은 "교육당국과 서울대가 국가 지적체제의 허리에 해당하는 대학원생(박사과정)을 제대로 육성하지 않을 경우 대학과 학문 발전은 물론,국가경쟁력을 제고할 수 없다는 점을 더 이상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입시와 학사행정 등 대학의 거의 모든 업무를 통제하고 있는 정부의 대학정책도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많다. 서울대의 한 보직교수는 "대학에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되 평가를 엄격히 하고 문제가 있으면 책임을 지우면 된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sh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