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가 ‘기여우대입학제’ 강행 방침을 정하고 기여입학 대상자와 기부금 하한선(20억원)까지 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교육계와 학생들이 강력 반발하는 등 큰 파장을 일고 있다.특히 연세대의 내부 보고서 내용이 공개되자 학생회측이 반대투쟁을 선언하고 교육인적자원부가 ‘절대불가’입장을 재천명, 연세대와 교육계의 충돌양상으로 까지 번지고 있다.
연세대측은 파문이 커지자 “시안으로 작성했으나 사회적 파장을 우려해 폐기했다”고 해명하며 진화에 나서고 있으나 교육계 안팎에서는 비판과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연세대의 안은 사실상 입학자격증을 매매하겠다는 것”이라며 “가뜩이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와중에 구체적인 기여입학 금액기준까지 설정해 놓아 결코 받아 들일 수 없다”고 못박았다.
또 연대측이 지난 16일 2002학년도부터 ‘비물질적 기여우대입학제’를 도입방침을 밝히면서 “동문 및 학교관계자 여부와 상관 없이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주장했으나, 기여입학 대상자에 역대 이사장, 총장, 총동문회장 등 학교관계자와 동문을 명시함으로써 기여입학제가 ‘내부 잔치용’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보고서를 입수, 공개한 연대 총학생회는 “국민의 평등권을 침해하는 기여입학제는 결국 사회적 위화감만 조성할 뿐”이라며 “공청회 등 공개적 의견수렴 절차와 학교 경영의 투명화가 선행되지 않은 기여입학제를 인정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그러나 다른 대학들의 입장은 다소 엇갈리고 있다. 상당수 대학들은 곱지않은 시선을 드러내고 있는 반면 재정난을 겪고 있는 상위권 사립대들의 입장은 ‘표정은 No, 심정은 조건부 Yes”쪽으로 모아지고 있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기여입학 대상으로 구체적인 금액까지 명시한 것은 학교, 학과간 ‘입학증 구입가격 서열화’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고, 상명대 고위 관계자도 “연대측이 내부적으로 검토한 방식의 기여입학제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대의 한 교수는 “대학의 재정문제를 해결할 명목으로 서둘러 기여입학제를 도입하기에는 사회여건상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그러나 고려대 재단의 한 관계자는 “기여입학제 도입여부를 공론화할 때가 됐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해 입장차를 드러냈다.
김성호기자
shkim@hk.co.kr
최문선기자
moonsun@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