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주 전 결혼식이 있어서 한 예식장에 갔다. 한국에서 결혼식에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지만 갈 때마다 놀랍고 부러운 것은 먼 친척부터 동네 사람까지 많은 사람들이 신랑 신부를 축복하는 장면이다.일본에서 결혼식은 촌수가 가까운 친척이나 회사 상사 동료, 친한 친구 등 초대할 손님을 골라낸 다음 초대장을 보내기 때문에 보통 양가 합쳐서 50~100명 정도가 모일 뿐이다.
그런데 이해가 안 되는 일을 겪었다. 축의금을 수령하는 접수처에서 하객들의 식사를 위해 식권을 배포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 예식장에서는 식당의 입구에서 신부 친구의 사람에게 식권을 나눠주게 했다.
예식장 직원에게 물어보니 식당이 지하에 있어 혹시라도 식권을 못 받는 하객을 위해 식당 옆에서도 하객중 누군가 식권을 주어야 한다고 했다.
또 정확한 인원수를 헤아려야 하고 직원들의 부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직원이 대신할 수도 없다고도 했다.
결국 내 친구의 친구가 식권을 배포했는데 그녀는 결혼식을 못 봤다. 하객에게도 한 번밖에 볼 수 없는 것은 결혼식인데 식권 문제로 하객 가운데 한 명이 '희생'된 것이다. 최소한 결혼식이 진행되는 시간에라도 직원이 대신 하게하는 방법이 없었을까.
지난 겨울엔 이런 일도 있었다. 학교에서 집까지 시내버스를 탔는데 술에 취한 아저씨가 차에 올랐다. 그 아저씨는 겨우 좌석에 앉을 정도 였으니 술을 많이 마신 모양이었다.
그리고 버스 운전기사에게 욕설 같은 것을 했는데 그래도 폭력을 쓰지는 않고 그냥 앉아 있기만 했다.
그런데 갑자기 운전기사가 일어나더니 600원을 줄 테니 차에서 내리라고 했다. 많이 취한 사람을 태우고 운전하면 위험하니까 내리라는 것이다.
취한 아저씨는 이 말을 듣고 손님에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냐고 항의했는데 결국 운전기사는 다음 정류장에서 600원을 주고 그 아저씨를 강제로 하차시켰다.
운전기사는 승객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는데 나는 기분이 나빠졌다. 승차거부를 당한 아저씨는 취한 상태로 욕설을 했지만 다른 승객에게 위해를 가하거나 자리에서 떨어질 가능성은 없었다.
오히려 버스의 난폭운전 때문에 그 아저씨가 쓰러질 가능성이 높았다.
한국에서 모자라는 것을 하나만 말하자면 낯선 사람에 대한 대접을 들 수 있다. 정이 많은 한국 사람들에게서 왜 고객위주의 서비스가 적은지 이해가지 않는다.
한국이 짧은 기간 안에 고도경제성장을 달성했기 때문에 남에 대한 배려가 조금 부족하다는 분석도 많다.
하지만 한국만큼 단기간은 아니었지만 일본 역시 고도경제성장을 한 나라인데도 일본의 '과도한'(?) 서비스 정신은 한국인의 이목을 끌고 있다.
14일 일본에서 국민가수라고 불러졌던 미나미 하루오(三波春夫)씨가 별세했다. 고도 성장기에 이름을 날렸던 그는 지금도 일본인의 기억에 남아 있는 상투구(常套句)를 남겼는데 그는 무대에 설 때마다 "손님은 하느님입니다"라고 말하고 나서 노래를 불렀다. 이번에 그의 죽음을 맞아 한국의 서비스 정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봤다. 돈을 받는 직업이라면 오는 사람 모두가 손님이다.
한국에서도 "손님이 왕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내 경험으로는 과연 손님을 먼저 생각하고 있느냐는 의문을 떨칠 수 없었다.
올해는 한국방문의 해다. 그 광고에는 '오는 손님에게 친절하게'라는 구호가 있다. 나는 이것보다 먼저 '있는 손님에게 친절하게'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외국인에게 친절하려면 먼저 한국인끼리 친절하게 대해야하지 않을까.
후카노 쇼이치ㆍ서울대 국제대학원 한국학전공ㆍNHK 제1라디오 리포터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