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측의 승무원 석방으로 한 고비 넘긴 것으로 비쳐졌던 미 정찰기 사건이 다시 격렬한 대치양상으로 반전돼 적이 걱정스럽다.양국은 승무원의 인도 협상 때만 해도 이를 외교적으로 풀어보려는 이성적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웬일인지 미국측에 승무원들이 인도된 직후부터 원점 회귀하듯 양국은 다시 강경한 입장으로 돌아섰다.
한반도에 큰 이해를 갖고 있는 두 강대국의 대립을 지켜보는 우리입장으로서는 이 문제가 하루 속히 이성적으로 결말이 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 중 양국이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말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하리라 믿는다. 글자 그대로 역지사지하는 자세라야 슬기로운 해법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승무원들이 인도되고 난후 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태 발전이다.
양국의 지도부가 국내여론을 의식해 서로가 이번 사건의 승리자인양 하면서 국민감정을 부추기고 있지 않나 하는 점이다.
부시 미 대통령은 승무원들이 귀국하자 마자 "앞으로 중국의 미군기들에 대한 도전을 강력히 추궁할 것"이라고 초강경 자세로 돌변했다.
뒤질세라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도 "중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승무원들을 석방했지만 앞으로 미국에 대해 책임을 물을 권리가 있다"고 응수했다.
부시 대통령의 돌변이나 주룽지 총리의 강경 응수도 따지고 보면 국내상황 때문이다. 승무원 석방을 위해 중국측과 많은 양보성 이면계약 의심을 사고 있는 부시 대통령으로서는 지도력의 훼손을 막기 위해 이 같은 의구심이 전혀 근거가 없음을 과시할 필요성이 있다. 반면 중국측도 승무원 석방에 저항하는 반발 기류를 무마하지 않으면 통치적 부담이 된다.
미국은 비록 사과하지 않았다고 강변해도 버금가는 '매우 미안(very sorry)하다'는 표현을 쓰지 않을 수 없었다. 승무원들의 조속한 귀환을 위해서다.
자존심 상한 미국이 승무원 귀환 후 보다 강경해지는 까닭이 아닐까 짐작되는 대목이다. 중국 역시 승무원 석방 후 미국이 보인 자세를 이중 플레이로 인식함으로써 양국간에 벌어지고 있는 견해차는 심각할 정도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18일 기체반환 등을 논의하게 될 마무리 회담의 장래는 불투명하다.
우리는 양국이 한 발짝씩 양보해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기를 희망한다. 지나친 책임공방이 결국 파국밖에 더 있겠는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