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이동에는 원심력은 없고 오로지 구심력만 있다. 아무리 정부가 국토균형발전과 지방육성을 외쳐도 수도권으로 향하는 인구의 행렬은 더 길어지고 있다.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0년 인구이동집계결과'를 보면 수도권만을 선호하는 국민들의 인식도 문제지만 정부의 수도권 집중억제시책에 근본적 결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전체 추이
1999년보다는 인구이동이 주춤해졌다. 환란 때문에 위축됐던 인구이동이 99년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탓에 지난해엔 상대적 소강상태를 보였다.
지난해 총 인구이동규모는 900만9,000명, 이동률은 19%(100명당 19명)로 99년(943만5,000명ㆍ20%)보다 인원은 42만6,000명, 이동률은 1%포인트 줄었다.
같은 시도안에서 움직인 인원은 100명당 13명(616만4,000명), 다른 시도로 옮긴 인구는 100명당 6명(284만6,000명)이었다.
의외로 남성보다는 여성의 이동이 많았다. 여성취업이 활발해지면서 97년을 분기점으로 여성이동은 남성이동을 앞지르기 시작했는데 지난해의 경우 여성 100명에 남성은 98.7명이 주소를 옮겼다.
연령별로는 진학과 취업, 결혼 적령기인 20~30대가 전체 이동자의 47.6%를 차지했다.
특히 20대후반은 3명중 1명(30.8%), 30대초반은 4명중 1명(27.7%)이 지난해 주소지를 옮긴 것으로 드러났다.
◈ 수도권 집중
아파트신축이 계속되고 있는 경기도에만 18만4,000명이 순전입(전입초과)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인천이 1만3,000명, 대전 9,000명, 울산 3,000명의 순이었다.
나머지 시도는 모조리 전출자가 전입자를 초과했다. 서울의 경우 4만7,000명의 순전출이 이뤄졌지만 인천과 경기에 워낙 많은 인구가 몰려든 탓에 수도권인구집중은 더 심해졌다. 수도권 순전입인구가 10만명을 넘어선 것은 94년이후 6년만에 처음이다.
특히 수도권 광역화 추세에 따라 대전과 충남 북, 강원을 잇는 중부권의 경우 95년이래 5년간 전입초과가 계속됐지만 지난해에는 1만4,700명의 순전출이 발생했다.
지난해 수도권으로 이사 온 인구는 총 58만6,000명. 출신지역별로는 충남이 12.1%로 가장 많았고, 전남(11.5%) 강원ㆍ전북(이상 11.1%) 순이었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사간 인구는 총 43만6,000명으로 이중 12.6%가 충남으로 주소지를 옮겼고, 다음으론 강원(12.6%) 전남(10.7%) 전북(10.5%) 순이었다. 수도권과 충청ㆍ호남간 인구교류가 많은 셈이다.
◈ 시ㆍ군ㆍ구별 명암
지난해 가장 많은 인구가 몰린 기초지역은 대규모 택지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경기 용인시로 3만142명의 순전입이 생겼다. 용인을 포함,수원 남양주 시흥 오산 등 '순전입 톱5'가 모두 경기소재 시였다.
반면 전출초과 1위는 서울 성북구(1만5,615명)였으며, 송파ㆍ도봉ㆍ은평ㆍ중랑ㆍ강남구 등 서울 6개구가 '순전출 톱10'에 속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성철기자
sc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