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열린 제3차 한ㆍ중ㆍ일 환경장관회의는 황사 문제에 소극적이었던 중국측이 대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중국은 그동안 황사에 대해 '서부 및 몽골 지역의 생태적 변화'라는 우회적 표현을 사용할 만큼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영문으로 'yellow sand'(황사)로 표현하는 데 합의, 인식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특히 '중국 서부 생태복원 50개년 사업'에 한ㆍ일 양국의 지원을 요청할 정도로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해 황사 해결에 획기적인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황사 해결 위한 국제연대 강화
이번 회의를 전기로 황사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연대와 공감대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당장 11월에 브루네이에서 열리는 'ASEAN+3 정상회의'에 황사대책이 의제로 상정된다.
김명자(金明子) 환경부 장관은 공동연구를 위해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북아 황사 방지 실무그룹'의 결성을 제안, 중일 양국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 내년에는 서울에서 '동북아 환경 NGO(비정부기구)대회'가 열려 황사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가 민간 차원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한중 기상청 관계자들도 9~10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제6차 한중 기상협력회의를 갖고 공동연구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중ㆍ장기 대책
우선 황사의 주 발생지인 타클라마칸사막과 고비사막 주변 내몽골 지역과 하이허강 상류가 생태계 복원 시범지역으로 선정돼 이르면 하반기부터 황사 발생 메커니즘 분석과 생태모니터링 사업 등이 본격 추진된다.
이 지역은 원래 초지였으나 농지로 개발되면서 과잉경작과 수자원 남용으로 사막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1단계 조사사업이 마무리되면 중국측은 2단계로 시범지역에 정착촌을 건설해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관개수로를 개설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나무가 자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 마지막 단계로 본격 조림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안이다.
조림이 불가능한 지역에는 모래가 날아오르지 않도록 밀짚 등으로 지표면을 덮어씌우는 고정화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3국 협력사업과 별도로 한국국제협력단(KOICA) 자금을 투입해 7월부터 중국 서부지역에 500만달러 규모의 조림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림청도 지난해부터 민간단체와 함께 고비사막 조림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조림은 50~100년이 걸려야 효과가 나타나 피해는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정화기자 jeong2@hk.co.kr
■공식명칭 '모래먼지' '황사'도 병기키로
황사에 대한 한ㆍ중ㆍ일 3국의 입장은 용어에서부터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우리나라는 황사가 닥치면 하늘이 노랗게 변한다고 해서 '황사'(黃砂ㆍyellow sand)로 표현한다. 이는 직접적인 피해당사국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황사라는 용어 자체에 강한 거부감을 보여왔다. 오히려 피해자라는 것이다. 특히 황사를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에 포함시키는 문제를 놓고 중국측은 자연현상일 뿐이라고 맞서왔다.
중국측이 '모래폭풍'(sand storm)이라고 부르는 것은 폭풍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인 현상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때로는 시커멓게 하늘을 뒤덮는다고 해서 '흑사'(black sand)라고도 한다.
그래서 중국측은 황사문제 해결을 사막화로 인한 생태복원사업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황사의 피해가 약해 '모래먼지'(sand dust)라고 한다. 황사는 심할 경우 하와이는 물론 캘리포니아까지 날아가 미국에서는 '서쪽에서 온 먼지'(dust from the west)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번 제3차 회의에서 황사를 모래먼지(sand dust)로 공식표기하되 괄호 안에 'yellow sand'도 병기토록 해 한국의 입장이 상당히 반영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