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통신은 지난 6일 '북한이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490발의 스커드미사일과 50발의 노동1호 미사일을 중동국가에 수출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서울발로 세계에 타전했다. 같은 날 국내 연합뉴스도 '북한이 지난해 50발의 노동1호를 리비아에 수출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북한의 스커드 미사일 수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려져 있지만 사정거리 1,300㎞인 노동1호 미사일 50발을 수출했다는 내용은 자못 생소한 부분이었다. 이 때문에 국방부에서는 출처를 확인하기 위해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그런데 '범인'은 바로 국방부 산하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한 연구원이 보고서에 발표한 논문이었다.
출처에서 범인으로 격하된 이유는 이 논문의 근거란 것이 바로 국내 모 신문이 작년 9월 영국 텔레그라프지가 보도한 기사를 인용, 보도한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확인 불가능한 영국 신문 기사가 돌고 돌면서 신빙성이 더해져 다시 외신을 타고 세계로 퍼져나간 것이다.
이 자리에서 이 논문의 문제점이나 노동1호 수출 여부를 가리자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북한과 관련된 각종 민감한 정보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이처럼 어처구니 없는 과정을 거쳐 과장ㆍ축소되는 경우가 매우 잦다는 점이다.
미국의 국가미사일방어(NMD) 체제 구축이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토머스 슈워츠 주한미군 사령관과 데니스 블레어 미 태평양군 사령관이 미 상원 증언에서 북한의 위협을 '과장'한 반면, 우리 군 당국은 이를 '축소'하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북한 관련 정보는 그 어느 쪽의 왜곡도 철저히 경계해야 한다.
황양준 사회부기자
naige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