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단행될 개각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임기후반 국정운영 기조의 방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김 대통령은 주요 부처에 대해서는 개인적 자질 외에도 국제상황, 조직의 균형, 임기 후반의 안정성 등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놓고 고심을 거듭한 것으로 알려졌다.김원길 의원의 보건복지부장관 발탁,이해찬 최고위원의 정책위원장 재기용에서 볼 수 있듯 이번 개각은 정예 인사들이 주요 부처에 전면 포진,난제들을 정면 돌파하는 성격을 띨 것으로 보인다.●통일
이번 개각의 하이라이트가 될 대목.당초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이 상반기에 이루어질 경우 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박재규 장관이 유임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그러나 임동원 국정원장이 통일부 장관을 맡아 남북관계를 총괄 지휘하고 국정원장에 보다 힘있는 인물이 발탁되는쪽으로 정리됐다.
●법무
임기가 끝나는 5월에 누가 검찰총장을 이어받느냐가 변수다.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의 출신 지역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법무장관 인사가 5월로 미루어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 출신으로는 최경원(崔慶元) 전 법무차관 신창언(申昌彦) 전 헌재재판관 등이 거론된다. 대구ㆍ경북(TK) 출신인 박순용(朴舜用) 검찰총장의 기용설도 나온다.
호남 출신으로는 검찰 핵심요직을 거친 신건(辛建) 전 법무차관이 유력하며 송정호(宋正鎬) 전 법무연수원장도 거론된다. 이 같은 복잡한 구도 때문에 김정길(金正吉) 법무장관이 당분간 유임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국방
군 차원의 대미 외교력, 군의 동북아 전략 도입 등 새로운 개념이 중시되느냐 여부에 따라 인선이 달라진다. 국방장관의 전통적 기준은 군내 친화력과 조직력이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가 중국을 주적으로 설정하는 등 국방전략을 변경하는 분위기에서 국방장관의 역할과 범위가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군내부의 조직력을 중시하면 서울 출신인 김진호(金辰浩) 전 합참의장과 TK출신인 김재창(金在昌) 국방개혁위원장이 부각된다. 김 전의장은 군내부의 신망이 두텁다.
김 위원장은 한미 연합사 부사령관을 지냈고 조성태(趙成台) 국방장관이 지원한다는 얘기가 있다.
군 차원의 대미 관계를 중시하면 김동신(金東信) 전 육군참모총장이 유력하다. 김 전 총장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시절 미군과의 조율을 잘했다는 평이며 부시 행정부의 군 인맥에도 접근 통로를 갖고 있다. 그러나 김 전 총장이 호남 출신이어서 지역 안배가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행정자치
업무의 연속성이냐, 임기 후반의 안정성이냐가 포인트다. 현재 진행 중인 지방자치법 개정 등 여러 정책을 위해서는 최인기(崔仁基) 장관이 유임돼야 한다는 견해도 있지만 대통령의 의중을 정확히 읽고 임기후반 내무행정과 경찰을 확실하게 이끌고 갈 수 있는 인물의 발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정치권에서는 남궁진(南宮鎭) 정무수석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외교
3당 정책연합이 우선시되느냐가 관건이었다. 당초 이정빈(李廷彬) 장관의 교체가 국가미사일 방어(NMD )체제 파문, 한미 정상회담의 시각차를 우리 외교의 잘못으로 시인하는 결과가 된다는 점에서 반대가 많았다. 하지만 이 장관이 사후 처리과정에서 실수를 범하는 바람에 민국당 한승수(韓昇洙) 의원의 기용이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영성기자
leey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