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제철의 '민영화 신경영'이 암초에 부딪쳤다.포철이 지난해 말 조직개편과 함께 서울과 포항,광양등 3곳에서 담당했던 구매업무를 갑작스레 포항 본사로 일원화하자 광양 제철소 주변지역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그동안 포철은 각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연간 자재 구매액 1조1,000억원중 1,700억원정도를 광양과 인근지역에서 조달해왔다.광양지역 200여 영세 하청업체와 지역상공인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대책위는 최근까지 "포철 전체 이익의 65%를 내는 광양지역에 대한 지원금이 포항의 13.7%에 불과하다"며 "국가와 국민의 전폭적 지원 아래 독점적 지위를 누리며 성장한 기업이 지역경제를 외면하며 기업이익만 추구하는 것을 몰염치한 짓"이라고 포철을 압박해왔다.
양측의 대립은 유상부 회장이 지난해 말 서울 본사를 항의방문한 광양시의회 대표단을 문전박대하면서 더욱 격화,'반 포철'기류가 여수·순천등 전남 동부지역 일대로 확산되고 있다.
뒤늦게 진화에 나선 포철측은 대책위 관계자들을 만나 지역협력위를 구성키로 합의했으나 유상부 회장이 연초 국내·외 투자설명회를 통해 밝힌 '투명성과 주주이익 극대화 경영전략'의 틀을 바꿀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쉽사리 해결점을 찾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와 관련 재개 관계자들은 "포철이 추구하는 글로벌 초일류기업은 주주뿐 아니라 지역주민,채권기관,정부 등 이해당사자와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이루는 게 바람직하다"며 "주주이익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대치시키는 발상 자체가 전근대적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윤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