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5차 남북 장관급 회담이 돌연 취소돼 유감스럽다. 북측이 13일 판문점 전화통지문을 통해 일방적으로 회담연기를 통보해 왔기 때문이다.당초 북측은 전금진(全今振) 내각 책임참사를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이날 오후 3시30분께 아시아나 항공편으로 김포공항에 보내 제5차 장관급 회담 일정에 들어가기로 한 바 있다.
북측은 이날 전화통지문에서 "여러 가지를 고려해 회담에 나올 수 없다"고 했으나 구체적인 사유는 밝히지 않았다.
추측컨대 북측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드러난 미 행정부의 대북 강경자세나 이에 편승한 '김정일 답방반대', '대북정책 재검토' 등을 주장하는 남측의 보수적 목소리가 드센 점이 부담스럽지 않았을까 짐작된다.
또 김 대통령이 제안한 '포괄적 상호주의'함의를 분석하는데 시간적인 여유가 필요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에 대해 우리측도 박재규 통일부장관 명의의 대북전화 통지문을 통해 강한 유감을 표시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회담이 재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그러나 북측이 후속 일정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아 회담이 언제 속개될는지는 현시점에서 누구도 속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장관급 회담은 즉시 재개돼야 한다. 그리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이 성사될 수 있도록 충분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민족 내부의 문제는 우리 스스로 1차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모처럼 남과 북이 상호 신뢰의 분위기 속에서 결실을 이룬 정상회담이 어떤 이유로도 중단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우리가 먼저 비관적인 결론을 내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럴 때 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북한을 설득하는데 혼신의 힘을 다 해야 할 것이다.
내외에 보란듯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완화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과 북이 모두 보다 유연한 사고의 틀 속에서 역지사지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김 위원장의 '신사고'를 주시한다. 그의 '통 큰'결단을 촉구하는 것이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도 대북정책에 관한 한 김 대통령의 이니셔티브를 인정하고 지원한다고 공언했다.
한반도 긴장완화는 궁극적으로는 남과 북의 상생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남과 북은 김 위원장의 답방을 시작으로 화해의 밑돌을 다시 놓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