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신학기부터 사용될 중학교용 역사 교과서에 대한 일본 문부과학성의 최종 검정을 앞두고 한일 한중간 외교 마찰 조짐이 뚜렷하다.이른바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편찬한 교과서가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할 것이 확실시되면서 한중 양국의 잠자던 대일 감정이 폭발하고 있다.
일본 언론은 대체로 침묵을 지키고 있다. 전통적으로 역사 문제에 민감한 아사히(朝日)신문은 시민단체의 주장과 한중 양국의 우려를 전하면서 어떤 경우든 현장 교사의 교과서 채택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언저리를 만지고 있을 뿐이다.
가장 층이 두터운 중도 보수파를 대변하는 요미우리 신문도 문제의 교과서에 대한 찬반 양론을 나안히 전할 뿐이다.
검정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데서 나온 원칙론적 신중함이다. 강경 보수파의 대변지 산케이신문만은 다르다.
지난해 외무성 출신 검정위원 이 다른 위원들에게 근대사 기술에서 주변국을 배려해야 한다는 검정 원칙을 환기한 것을 '부당한 압력'으로 몰아 붙여 쫓아 내더니 이번에는 한중 양국이 내정 간섭에 나섰다고 일본 국민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
26일에는 오이타현의 초중학생 방학교재에 일본군의 잔학상을 부각한 자락적 내용이 실렸다고 1면과 사회면 머릿기사로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이써서 새 교과서를 만들어도 교육현장이 이래서야 무슨 소용이냐는 식의 문제 제기이다. '만드는 모임'의 나팔수를 자임하면서, 특히 지회사인 후소샤가 문제의 교과서 출판을 맡고 있는 신문으로서는 너무 '당연'한 논조이다.
교과서 시장은 진입에만 성공하면 책값이 예산에서 지불되는, 매력적인 장사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씁쓸하다. 모든 나팔수는 이념 전파의 뒤로 현실적 이해도 함께 겨냥하는 것일까.
황영식 국제부 기자
ysw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