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신용도가 낮은 개인과 기업이 은행에서 대출받으려면 현재보다 더 높은 가산금리를 부담해야 한다.20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그동안 기업의 경우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 차이를 3~4%선으로 운용해왔으나 앞으로 5~7%까지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은행마다 부실기업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을 높이면서 일정 신용도에 미달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아예 대출을 해주지 않으려는 움직임도 확산되고 있다.
기업들을 신용도에 따라 10단계로 구분해놓고 있는 국민은행의 경우 현재는 최상등급(갑1)과 6등급(을3)간 가산금리 격차가 2.79%포인트로 돼 있으나 앞으로 3~5%포인트까지 벌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신한ㆍ 외환 등 다른 은행들도 하반기 중 새로운 가산금리 체계를 적용키로 하고 세부 검토작업에 착수했다. 신한은행의 현재 대기업 대출 기준금리는 연 9.75%로 최상등급인 1단계 기업에는 기준금리보다 훨씬 낮은 6.5%선에 대출해주고 있는 반면 7단계 기업에는 연 9.5~10.5%의 금리를 부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 100억원을 대출받을 경우 최상등급 기업의 금리 부담은 연 6억5,000만원선인 반면 7단계 기업은 10억원선에 달하고 있는 셈이며, 앞으로 신용도가 낮은 기업의 금리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은행들은 개인들에 대해서도 신용등급별 가산금리 차이를 확대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최근 신용대출 기준금리를 낮추지 않는 대신 일률적으로 적용하던 영업점장 우대금리 0.25%포인트에서 0.25~2.0%포인트로 대폭 확대했다.
이에 따라 '우수고객'기준에 포함되는 상장업체 40세 이상 과장이 무보증신용대출을 받을 경우 종전에는 연 12.5%의 금리가 적용됐으나 앞으로는 10.5%까지 적용이 가능해 연 60만원의 이자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반면 신용도가 낮은 고객들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금리를 부담해야 한다는 게 은행측의 설명이다.
한상일(韓相壹)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의 은행들은 신용도에 따라 국내 은행들보다 훨씬 큰 폭으로 가산금리 차등을 두고 있으며 우리 은행들도 앞으로 이 같은 추세를 지향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 연구위원은 "기업의 경우 강도높은 구조조정과 신 경영을 통해 신용도를 높이지 않으면 앞으로 대출 받기조차 어려워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규기자
jk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