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부터 일부 언론에 보도된 '다음주 중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설(說)'이 갖가지 '설'들을 낳고 있다.조기답방설의 진원지로는 일본과 중국이 꼽히고 있다. 최근 일본 모 통신사 경영진이 방북해 김 국방위원장을 면담하려 했으나 북측이 "김 국방위원장이 서울답방으로 바쁘다"는 답변을 들어, 2월말 서울답방설이 나왔다.
이 설은 일본 내에서 '감청설' 등 각종 소문과 어우러져 그럴듯한 모습으로 포장됐다. 베이징(北京)에서도 조기답방설이 끊임없이 나돌았다.
조기답방을 통해 부시 미 행정부를 견제하려는 중국측의 입장이 반영된 소문들이다.
물론 서울에서도 남북정상회담 추진과정의 전모를 공개할 수 없는 당국의 태도, 김 국방위원장의 극비 방중 등을 근거로 조기답방설이 내연 중이었다.
국내 언론은 13일 오후부터 이러한 소문과 설에 일말의 진실이 숨어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가능성' '설' 등을 제목으로 다양한 기사들을 내보냈으며, 청와대와 통일부 당국자들은 14일 하루종일 이를 진화해야 했다.
관측통들은 조기답방설이 나올 수 밖에 없는 환경적 요인으로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진행되는 남북접촉의 비공개성 ▦매끄럽지 못한 북ㆍ미 관계를 반영해 조기답방 가능성을 점치는 일부 관측통들의 분석 ▦김 국방위원장의 불가측한 행태 ▦올 상반기 예정된 남ㆍ북한 및 주변 4강의 연쇄 정상외교 등을 꼽고 있다.
이영섭기자
younglee@hk.co.kr
■청와대 당국자 일문일답
_한미 정상회담 전 김정일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가능한가.
"불가능하다. 전혀 가능성이 없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답방을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충분히 협의한다'는 입장에 변함없다."
_협의가 진행 중인가.
"지금은 답방을 얘기할 시점이 아니다. 전력 실무회담, 임진강 수해방지 회담, 군사실무회담 등이 잘 이루어지고 사전조율이 있어야 하고 국민적 합의도 필요하다."
_3월에 중국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이 북한을 방문하는가.
"모르겠다. 우리가 파악한 바로는 그럴 계획이 없다. 웬만하면 우리도 안다."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4월 17일 방문하는데 서울 답방은 그 후에 이뤄지는가.
"김 위원장이 여러 나라에서 얘기를 듣고 서울에 오려 하지 않겠는가."
_김 위원장의 답방을 상당 기간에 앞서 발표할 계획인가.
"투명하게 할 것이다."
_설 전후 북한의 고위급 인사가 다녀갔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황당한 얘기다."
_김 위원장이 3월에 중국을 다시 가나.
"그럴 가능성은 없을 것이다. 한 국가의 지도자가 자주 그럴 수 있는가."
_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여건 조성이란 무엇인가.
"김 위원장의 답방을 계기로 남북 평화공존이 돼야 한다. 이를 위한 여건 조성이 이뤄져야 한다."
_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 때 산업시찰을 할 것인가.
"본인이 원하면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이영성기자
leey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