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14개 통화권 전역을 광케이블로 잇는 초고속 정보통신 기간망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읍ㆍ면 단위까지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정보 고속도로'가 뚫리게 됐다.안병엽 정보통신부 장관은 "60,70년대 고속도로 건설로 '전국의 1일 생활권'이 실현됐다면 이제는 전국이 '1초 생활권'으로 묶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사업 추진 경과
이번에 구축된 기간전송망은 1995년부터 32조원을 투입해 추진해온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사업 중 2단계 사업으로, 원래 계획보다 2년 앞서 완성됐다. 정부가 지난해 초 2010년이었던 사업 완료 시점을 2005년으로 5년 앞당기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전국 144개 지역을 거미줄처럼 잇는 기간전송망의 길이는 총 1만9,988㎞. 서울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제주 등 12개 거점 지역간을 622M~5Gbps 광케이블로 묶은 뒤 거점 지역과 132개 시ㆍ군 단위 접속점을 155M~662Mbps급 광케이블로 연결하고 있다.
▽기대 효과
우선 전화 모뎀을 통해서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었던 읍ㆍ면 지역에서도 ADSL 등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지역간 정보화격차 해소의 실질적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한국통신은 이 기간전송망을 기반으로 이미 올 1월 전국 1만여 개 초ㆍ중ㆍ고교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개통을 완료했다.
정부가 추진중인 '전자정부'(e-Government) 구현도 앞당길 수 있게 된다. 전자정부가 실현되면 각종 민원서류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발급받고, 공과금도 인터넷으로 납부할 수 있다. 기업 정보화 촉진,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을 통해 산업 발전에도 크게 보탬이 된다.
▽향후 과제
3단계 사업에서는 이미 구축된 전송망의 속도ㆍ용량을 수십 테라로 높이는 작업이 추진된다. 10테라는 고화질 동영상 자료 100만개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이다.
그러나 초고속 망의 완성은 정보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가 갖춰졌다는 것으로, 이를 활용해 명실상부한 '정보통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남아있는 과제도 적지 않다.
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한 기업 정보화 수준이나 첨단 산업 경쟁력이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정부와 기업, 민간 부문에서 실질적인 정보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첨단기술과 다양한 서비스 개발, 정보보호 기반 구축 등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희정기자
jay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