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인 여론에도 불구, 장재식(張在植) 의원의 추가 이적을 강행한 민주당의 '선택'에는 "무리를 해서라도 정국을 돌파하겠다"는 여권의 정국운영 기조가 잘 반영돼 있다.이는 가까스로 복원된 DJP공조의 안정적 지속을 위해선 자민련의 교섭단체 구성이 그만큼 절실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또 "이왕 맞을 매라면 한꺼번에 맞겠다"는 현실적 계산도 깔려 있다.
지난 연말에 이루어진 세 의원의 이적과 이번의 추가 이적은 그 과정이 사뭇 다르다.
민주당 김중권(金重權) 대표 등 지도부는 지난번에는 이적 의원들의 '자발성'을 강조했으나 이번에는 지도부가 기획ㆍ개입했음을 숨기지 않고 있다. 김 대표 스스로가 10일 추가 이적 배경을 설명하면서 9일 자민련 김종호(金宗鎬) 대행과의 회동에서 이미 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합의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이는 교섭단체 구성이 선택적 사항이 아니라 DJP공조의 복원을 위한 필수적 마무리 수순이었음을 실토한 셈이다.
민주당으로서는 또 교섭단체 기준 완화를 위한 협상 가능성을 흘리고 있는 한나라당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자민련도 강창희(姜昌熙) 의원의 제명후 잠복하고 있는 당내 갈등을 잠재우기 위해 '속전속결'이 필요했다.
그러나 추가 이적으로 민주-자민련간 공조복원의 모양새는 결정적으로 일그러질 수밖에 없게 됐다. 자민련의 추가 '임대' 요구와 민주당의 수용이라는 막후 교섭은 DJP 공조복원이 '거래'에 의한 것이라는 비판을 자초했다.
한나라당의 반발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에 자민련이 교섭단체 구성으로 국회에서 발언권을 얻게 되면 '정국안정'이 이뤄질 것이란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민주당 김 대표가 "의원 한명이 왔다 갔다 하는 문제에 대해 국민들이 반감을 가질 이유가 뭐 있느냐"며 "정치권 내부의 공방일 뿐"이라는 인식을 보인 것도 도마 위에 오를 대목이다.
김 대표의 강성 이미지가 고착화할 우려가 있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의 정치력에도 '상처'가 불가피하다. 특히 JP는 당내를 추스르지 못해 한명을 더 빌려올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고태성기자
tsg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