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당선자는 국무장관에 콜린 파월 장군을 지명함으로써 내년 1월 출범하는 공화당 정부의 외교색깔을 드러냈다. 파월 장군은 1991년 걸프전 당시 미국 함참 의장으로서 딕 체니 국방장관과 함께 대 이라크 전쟁을 수행했던 아버지 부시 대통령의 참모들이다.아버지 대신 아들이 백악관주인이 되고 국방장관이 부통령이 되고 합참의장이 세계전략을 지휘할 국무장관이 되었으니 나머지 외교 팀의 얼굴을 보지 않더라도 공화당 외교진용이 던지는 시그널은 짐작할 수 있다.
미국 언론이 지적했지만 파월은 수락연설에서부터 국무장관인지 국방장관인지를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포괄적인 문맥을 사용했다.
대외정책에 관한 한 문외한인 부시 당선자가 파월에게 2차대전후 마셜 장군에 버금하는 역할을 주문하는 것으로 볼 때 공화당 정권출범 후 상당기간 국제정치무대에서의 그의 막강한 영향력이 기대된다 할 것이다.
대통령이 어느 정파냐에 따라 외교전략의 개념과 스타일이 차이가 있지만 미국외교의 원칙은 철저한 국익의 보호다. 특히 한반도처럼 미국외교전략이 민감하게 수용되는 지역에서 볼 때 이런 개념과 스타일의 변화가 초래할 파급효과는 크다.
따라서 국가적 자원과 에너지를 쏟아 붓고 있는 우리의 대북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 부시 새 정부와 긴밀한 정책협의를 시급히 추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부시 당선자나 파월 차기 국무장관이 한반도 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한 대목은 없다. 그러나 그들이 피력한 외교정책 문맥 중에 우리의 관심을 끄는 부분이 적잖다.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에 대한 입장이라든가, 사담 후세인을 '실패한 체제'라고 지칭한 것 등은 음미해야 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부시 당선자에게 가급적 이른 시일내 회담을 요청한 것은 시의적절했다. 그 동안 한미간 철벽공조속에 이뤄져 온 대북포용정책을 생각할 때 더욱 그렇다.
욕심같아서는 미국의 새 정부 출범 전에 두 사람이 만났으면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것 같다. 하지만 정부는 미국의 새 외교팀에 대북포용정책과 관련한 한국민의 이해를 정확히 설명하는 기회는 가져야 할 것이다.
부시 당선자 또한 한반도문제가 동북아 문제해결의 첫 수순임을 인식하고 한국정부와의 정책협의 기회를 갖는데 인색해서는 안 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