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자금이 들어온 코스닥 A기업과 껍데기만 남은 B기업 펀드도 터질 날이 멀지 않았다.' `정·이 의혹'사건을 계기로 시한폭탄과 같은 사설펀드를 고리로 한 금융사고와 관련된 괴담이 나돌고 있다. 지난해부터 만들어진 사설펀드가 증시폭락과 함께 대부분 정씨의 경우처럼 쪽박나 있기 때문에 언제 터질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사건은 자본금이 적은 신용금고가 매개가 됐지만 대형 금융기관이 개입됐다면 피해는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A기업의 경우 펀드에 정치권 자금이 상당히 들어와 아직까지 보호막이 되고있지만 일단 파열된다면 로비전의 위력은 동방신용금고(서울) 사건을 능가할 것이란 소문이 파다하다. B기업은 연초대비 수십배 이상 주가가 뛰다 주저앉은 경우로 수백억원의 펀드 손실이 불가피해 동방과 같은 불법대출로 연결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주가조작 소문이 난 종목과 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금고나 금융회사를 인수한G,K,T기업 등이 제 2,제3의 정현준게이트로 주목을 받고 있다.
신용금고 등을 포함한 금융사고의 재발가능성은 주식시장의 침체가 시발점. 신용금고의 경우 사채업자 등 지하자금을 양성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설립됐으며 지난해부터 주식부자가 된 벤처기업과 결탁해 커넥션을 완결했다.
신고 만으로 인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용금고는 벤처업계의 인수합병 사냥감이 되기도 했다. 당시만 해도 천정부지로 치솟는 주식을 맡기고 사채와 사설펀드 등으로 손쉽게 마련한 자금으로 사업확장이 가능했다.
그러나 증시침체와 함께 상환이 불가능해지는 등 돈줄이 막히게 된 것이다.또 동방금고의 경우처럼 대주주와 실제 돈줄인 사채업자와의 관계악화가 자금경색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잇다.
결국 투자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금융기과의 도움을 빌릴 수밖에 없고 이과정에서 불법과 로비는 자연스런 수순이 되는 것이다.
문제는 사설펀드로 머니게임을 벌이는 부도덕한 벤처기업가들이 종금사등과 연결되어 차명계좌와 교차대출 등 온갖 편법을 동원해 돈을 빼나간다면 감독당국의 적발도 쉽게 피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까지 대형 금융기관이 벤처업체와 조직적으로 결탁한 사례는 없지만 사설펀드에 증권사나 투신사 직원들이 가담한 사실은 확인중"이라고 말했다.
김정곤기자
kimj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