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구조조정을 연내에 마무리짓는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견 업체들이 생사의 비탈에 섰다.금융감독원은 최근 현대, 한일, 신한, 럭키생명 등 4개 생명보험사에 대해 이달 말까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보험사가 파산하더라도 계약자 전원에게 일시에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순자산 정도'를 의미하는 지급여력의 비율이 100%에 미치지 못할 경우 계약 이전이나 합병 등의 퇴출 조치도 가능하기 때문에 업체들의 움직임은 부산해졌다.
2002년까지 3,400억원을 증자키로 한 현대생명은 지난 5월 계획했던 600억원의 증자가 오너 형제간 경영권 분쟁 이후 차질을 빚고 있다. 또 현대건설의 유동성 문제에 관심이 쏠리면서 그룹 차원에서 현대생명 증자에 관심을 갖지 않는 것도 현대생명을 힘들게 하고 있다.
한일생명의 경우 자체 조사에서는 지급여력 비율이 130%에 달했지만 금감원 실사 결과 이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렇게 될 경우 추가 자금 확보가 필요하지만 모그룹인 쌍용의 어려움으로 힘들 전망이다.
반면 신한생명은 지급여력 비율 기준을 채우기 위해 필요한 약60억원의 자금을 이사회 증자결의를 통해 확보했고 럭키생명은 미국 하트포드사로부터 외자도입을 추진중이다. 외자유치에 실패할 경우 LG화재 등의 대주주가 증자에 참여하는 방안도 마련해 350억~400억원 정도의 자금 확보가 가능한 상태다.
이밖에 신동아, 대한화재 등 일부 손보업체들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증자를 실시할 계획이지만 순탄치만은 않다. 또 지급여력 비율 100%를 넘긴 중ㆍ소형업체들도 주식시장 악화에 따른 평가손과 보험시장 규모 축소 전망으로 전도가 불투명하다.
업계 관계자는 “각 업체들이 9월말 지급여력 비율 기준 100%는 그럭저럭 맞추겠지만 12월이 더 걱정된다”며 “시장 축소와 주식투자 손실로 인해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는 살아남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상원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