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간 줄다리기를 해온 한국·프랑스 간 `외규장각 도서반환' 문제가 사실상 타결되었다. 대통령들의 이번 합의는 양국의 입장을 존중하면서 실리적 타협점을 모색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는 `교류 형식'이라는 원칙을 지켰고, 한국은 현수준에서 실리를 도모한 셈이다.`교류와 대여' 원칙에 의해 2001년까지 유일본 63권을 포함한 외규장각 도서 191종 296권을 받는 대가로 한국이 줘야 하는 문화재는 11월 파리 회담에서 구체적으로 결정키로 했지만, 국내에 여러 권이 있는 비어람용 의궤 복본(復本)을 주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규장각 도서는 국가와 왕실의 각종 행사절차를 기록한 보고서인 의궤(儀軌)류를 말하는 것으로 특히 외규장각은 왕만이 열람하는 어람용이었다.
그동안 도서반환문제는 양국의 문화적 실리와 국가적 자존심이 맞부딪쳐 난항을 거듭해왔다. 1993년 외규장각 도서 한 권을 무상으로 반환한 미테랑 당시 프랑스 대통령의 정치적 제스처로 인해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되는 것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프랑스로서는 문화재의 무상 반환이란 허용하기 어려운 선이었다. 문화재를 본국에 돌려주게 되면 루브르 박물관의 반이 텅 비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으로서는 병인양요 시기 약탈해간 외규장각 도서를 무상으로 되돌려 받는 것이 정당한 일일 뿐 아니라 국가적 자존심이 걸린 문제였다.
답보를 거듭하다가 1998년 아셈회의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합의로 양국간 문화ㆍ역사 전문가 협상이 이뤄지면서 상황이 진전됐다.
3차례의 전문가 협상을 통해 양국은 `윈윈'의 틀로 문제를 매듭짓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한 후 이번 합의에 이르렀다. 우리로서는 프랑스에 의궤 복본을 주고 유일본을 돌려받는 일이 만족스런 일은 아니나, 현단계의 협상에서는 성과를 인정할 만하다고 본다.
/송용창기자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