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에서는 특정 분야를 담당하는 기자를 대개 ‘○○○ 출입기자’라고 한다. 교육문제를 담당하는 기자를 ‘교육부 출입기자’라고 하는 식이다.기자는 요즘처럼 자신이 ‘출입’하는 기관의 장의 개인적인 문제가 사회적으로 불거질 때 자못 곤혹스럽다. 사안을 비판적으로 감시하는 일이 본업이지만 인간적으로는 당사자에게 참 미안하고 때로는 괴롭기 때문이다.
전임 장관이 7개월도 못채우고 물러난 뒤 송 자(宋 梓) 교육부장관을 맞는 교육부 출입기자들의 감회는 남달랐다. 이제는 개인문제로 교육의 본질이 달아나고 신변잡사로 지면이 어지러워지는 일은 없기를 바랬다.
이 자리에서 그의 주식문제나 책 표절 시비, 재탕삼탕된 이중국적 문제를 새삼 거론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구닥다리식으로 말해 왜 일국의 정승판서가 임명되기만 하면 이런 잡음이 터져나오는가 하는 점이다.
취임 나흘만인 지난 11일 시민단체의 문제제기로 주식문제가 터졌을 때 교육부 관계자들은 “다 알고 임명한건데 뭘 새삼…”이라는 식의 반응을 보였다. 그랬다면 정말 큰 일 낼 일이다. 모르고 그랬더라도 큰 일이다.
도대체 청와대의 인사기록, 국가정보원의 존안자료, 비선조직의 별도보고 등등 인사때마다 참고했다는 그 어마어마한 자료들은 무엇을 어떻게 검증했다는 것인가.
사람을 아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했다. 미국에서는 대법관 지명자가 대학때 마리화나를 피웠다고, 장관 지명자가 불법이민자를 가정부로 쓴 전력이 있다고 낙마한다. 이제야말로 사람 알기를 제도화해야 할 때다. 집권당 공약대로 인사청문회를 제대로, 확대해 실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광일 사회부 차장대우
ki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