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이산가족 상봉단 방문사업 이후 속도감 있게 진행 될 이산가족문제 관련 일정속에서 남북은 정례적인 상봉, 생사확인, 서신교환, 재결합등 제도적이고 영구적인 문제 해결의 물꼬를 틀 것으로 기대된다.김대중 대통령은 14일 “앞으로 면회소 설치, 편지왕래, 직접 고향방문은 물론 헤어진 가족들이 북에가서 살든, 남에 살든 가족이 재결합까지 갈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통령이 그간 요원한 목표로 간주되던 이산가족 재결합까지 언급한데에는 최근의 밝아진 상황변화를 감안한 것이다.
정부당국자는 “김대통령 발언은 북한 내부에서 숨어있는 이산가족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올 9, 10월 2차례의 상봉사업을 더 하겠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남한 언론사 사장단과의 대화내용을 고려한 것”이라며 “정부는 김위원장 발언을 통해 이산 가족문제를 인도적 문제가 아닌 예민한 정치문제로 간주하던 북측의 태도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이 당국자는 “(이산가족 문제를) 내년에 종합검토해서 해 나가자고 밝힌 대목을 주목한다”고 말했다. 내년중 상봉단의 가정방문(고향방문)까지 기정사실화한 김위원장의 태도로 미뤄 ‘종합검토’란 정례적인 생사확인, 서신교환, 상봉, 재결합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는 양측 최고지도자가 서명한 6·15 공동선언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축적되고 있는 신뢰와 협력관계가 고령으로 사라져가는 이산 1세대들의 한을 풀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이러한 목표는 9월초 비전향장기수 북송사업과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 확정을 위한 남북 적십자회담을 통해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남측은 이달 20~25일(송환 15일전) 60명가량의 북송희망 장기수 명단을 확정·통고한뒤 9월초 이들을 송환할 예정이다. 장기수 송환은 이산가족 재결합 차원으로 볼수 있기 때문에 김대통령의 언급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적십자회담에서는 면회소 설치 장소와 운영방식이 확정된뒤 다양한 제도적 해결방안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1998년 차관급 회담에 제시했던 매달 수백건씩의 생사확인, 서신교환, 상봉등이 회담결과물로 도출되는데 회담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하지만 제도적 해결에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 전문가는“김위원장이 내년에 이산문제를 종합검토하자고 밝힌 것은 당분간 이벤트성 사업인 상봉사업만을 지속하겠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며 “9월 적십자회담에서 북측의 입장을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섭기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