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행정부는 국방정보국(DIA)이 북한내 핵프로그램 추진 의혹시설을 10곳 이상 지목하고 있지만 제한된 정보에 대한 해석상의 논란으로 북한측에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지 않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5일 보도했다.이 신문은 DIA가 미-북 핵합의에 따른 영변 핵시설 동결 이후 1990년대 말까지 금창리 지하시설 등 10곳 이상을 핵프로그램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장소로 지목해 왔다고 밝히고 DIA 정보분석가들은 이 중 핵탄두 부품이 저장된 것으로 의심되는 시설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이 시설이 3년전 위성사진과 통신감청, DIA 첩보요원이 보고한 '인적정보’등에 근거해 인지됐으며 지금까지 위치나 존재 등이 전혀 공표되지 않아 왔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그러나 DIA가 의혹을 제기한 금창리 시설에 대한 사찰에서 핵프로그램 추진과 관련된 단서가 발견되지 않고 또 다른 의혹시설도 북한지도부의 유품 보관장소로 판명됨으로써 DIA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심각하게 떨어져 클린턴 행정부가 의혹 규명작업에 나서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클린턴 행정부가 북측에 핵탄두 저장소라는 의혹이 제기된 시설에 대한 사찰을 요구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이 지난 1998년 7월 하원 지도부에 핵탄두 저장소에 관한 비밀브리핑을 한 뒤 한 의원의 질문에 "2주전에 보고를 받았다”고 답변하는 과정에서 패트릭 휴즈 당시 DIA 국장이 나서 "1년전에 이미 보고를 했다”고 정면으로 반박한 일이 있었다고 소개하면서 1년 뒤 예편을 한 휴즈 중장은 올브라이트 장관을 당황시킨 것에 대해서는 사과를 했지만 그의 답변을 정정한 일은 정당한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이 사례가 위성사진이나 단편적인 첩보 등 극히 제한된 정보를 해석하는 데 있어 국무부 고위 외교관과 국방부 정보분석관들 사이의 견해차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가를 나타낸다고 지적하고 국가미사일방어(NMD)체제 구축을 둘러싼 논란도 이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국무부 관리들이 매파로 알려진 DIA가 정보를 너무 비관적으로 확대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DIA측에서는 금창리 사찰에서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고 해서 다른 의혹시설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 것은 정보보고서를 너무 경시하는 것이란 입장을 보이고 있다.
/뉴욕=연합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