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이산가족 어떻게 찾나남북 이산가족 상호교환방문은 8월15일 양측에서 각각 100여명 규모로 성사된다. 이에 따라 북한의 이산가족 찾기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북한은 100-200여명 규모의 상봉단 교환은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준비를 끝낸 상태이다. 1999년 6월 베이징(北京) 남북차관급 비료회담때 북측은 회담 타결에 대비, 100명의 이산가족 상봉단 구성을 완료한뒤 이들에 대해 사전 교육까지 마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측은 1998년 2월 인민보안성(당시 사회안전부)에 주소안내소를 설치, 이산가족의 실태파악을 해오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 거주 동포들에게 가족·친지를 찾아주기 위해 이산 가족 생사확인 및 상봉의 공식 통로를 마련했다는 게 북측 설명이다. 그 이전에도 미국 등 해외 동포들이 방북, 간혹 혈육을 만났는 데, 노동당 관계자나 아·태평화위등 비공식적 라인을 통해서 였다.
주소안내소는 남측과 마찬가지로 북한내 이산 가족들로부터 헤어질 당시의 장소, 동기, 신상, 가족, 친지 성명, 관계, 나이, 출생지 등을 자세히 기재한 신청서나 편지를 접수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각 지역의 도 인민보안국 및 시·군· 구역 인민보안서와 협력해 가족을 찾아주고 있다.
북한당국은 1998년 한해동안 460명의 북한내 이산가족 상봉을 주선했다. 서울에 거주하다가 6·25때 헤어진 사촌형제, 북한 지역에 살다가 전쟁때 흩어진 혈육 등으로 상봉유형도 다양했다.
남조선 연고자(이산 가족)만을 특별 관리하는 노동당 통일전선부도 이산가족 명단을 확보하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기간중 방북, 친인척을 만난 이산가족 출신 기업인 3명은 “당에서 가족 만나기(이산가족 상봉)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따라서 남측 이산가족 100여명의 북측 혈육상봉은 적십자회담을 통해 명단을 사전에 넘겨받은 통전부가 인민보안성의 자료를 활용, 주선 할 것으로 보인다.
박진용기자
hu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