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세때 동생·어머니 잃어 성격 큰 영향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출생에 대해서는 세 가지 주장이 존재한다. 첫째는 1942년 2월16일 러시아 연해주의 하바로프스크에서 60㎞ 떨어진, 88특별여단 본부가 있었던 브야츠크(북야영)에서 김일성과 김정숙 사이에서 장남으로 출생했다는 주장이다.
둘째, 재일 논픽션작가 김찬정씨에 따르면 브야츠크에서 남쪽으로 500㎞ 떨어진 블라디보스토크와 볼로시로프 중간지점의 하마탄(남야영) 부근의 소련 병원에서 출생했다. 1942년 6월19일 김일성의 브야츠크 전출로 가족이 그 곳으로 옮기게 됐다는 것이다.
셋째, 북한은 백두산 밀영지의 귀틀집(통나무집)에서 태어났다고 선전하고 있으나 김일성의 1941-45년 소련 체류와 김정일의 소련 이름 유라를 감안하면 이는 신빙성이 약하다.
김정일은 만 세살인 1945년 10월 북한에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버지와 함께 들어왔다면 9월 중순이 될 수도 있다.
김정일의 어린 시절은 여유가 있었으나 기복이 심했다. 1948년 8월 화진포의 김일성 별장에서 당시 북한 주둔소련군의 레베데프 정치사령관 아들 및 여동생 김경희 등과 찍은 사진 그리고 1948년 11월 어머니와 함께 소련군 고위장성 부인들과 찍은 기념사진 등을 보면 한동안 유복했던 김정일의 어린 시절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김정일은 어린 나이에 인생 비극을 체험해야 했다. 1948년 초여름 그의 동생 슈라가 익사했고 이듬해인 1949년 9월22일 어머니를 잃는 불운을 겪는다. 어머니를 일찍 여읜 어린 김정일 남매에 대한 김일성의 애정은 각별했을 것이며 이같은 가정환경이 김정일의 성격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봐야한다.
김정일은 1949년 9월 평양 남산인민학교에 입학했고 다음해 6·25전쟁 발발로 만주로 피란 가 길림학원에서 공부했다. 1952년 11월에는 만주로 소개되어 온 만경대 혁명가 유자녀 학원(만경대 혁명학원 전신) 3학년에 편입했다.
휴전 직후인 1953년 8월 평양에 돌아와 평양교외에 있는 삼석인민학교로 전학했고 얼마 후 개교한 평양 제4인민학교 5학년으로 전학했다. 그후 평양의 제1초급중학교를 거쳐, 1960년 고위층 자제들이 다니는 남산고등중학교를 졸업했다.
김정일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고교시절부터 표출됐다는 게 정설이다. 김정일은 1959년 1월 소련공산당 제21차 대회에 참석하는 김일성의 모스크바 방문에 동행했다.
남산고등중학교 졸업반이었던 19살의 김정일은 영리하고 호기심이 많아 소련 대학의 학과 내용에 대해 많은 질문을 했다고 황장엽(黃長燁)씨가 밝힌 바 있다. 어린 나이에 정권에 대한 욕망이 컸고 아버지를 잘 모시는 일에 특별한 관심을 쏟았으며 수행원들을 집합시켜 놓고 직접 보고 받거나 지시를 내리는 일을 즐겼다는 것이다.
김정일은 1964년 3월 김일성 종합대학교 정치경제학부를 졸업했다. 그는 졸업 직후인 6월에 중앙당 핵심부서인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중앙당 사업에 참여했고 1967·1971년 당 조직지도부 과장과 부부장으로 승진했다.
1973년 당 문학예술부 부장을 거쳐 1973년 9월 당의 조직 및 선전선동담당 비서라는 막강한 지위를 차지했다. 1974년 2월 당 정치위원회 위원(정치국원)까지 겸함으로써 김정일은 후계자로서의 기반을 공고히 다졌다. 그는 ‘지도자 동지’ 또는 ‘당중앙’으로 호칭되었으며 33세되던 1975년 2월 15일에는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김정일은 1980년 10월10-14일 개최된 제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군사위 위원으로 선출됨으로써 공식적인 제2인자 자리를 굳혔다.
1982년 3월에는 ‘주체사상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을 체계화 하기도 했다. 1983년 6월에는 후야오방(胡耀邦) 총서기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 덩샤오핑(鄧小平)등과 접견하고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등지를 시찰했다. 1984-86년에는 방북한 胡총서기 및 셰바르드나제 소련 외상 등과 회견하는 등 후계자 수업을 했다.
전인영(서울대 국민윤리교육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