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고난 끌어안는 몽실이는 '세상의 언니'소년 소설 ‘몽실언니’는 1984년 초판이 나온 이후 42판을 거듭 발행했다. 소년들이 너나없이 국·영·수나 디지털로 내몰리는 시대에 ‘몽실언니’의 성공은 놀라운 문학현상으로 꼽힌다.
그리고 소년소설 ‘몽실언니’를 읽은 사람들 중 상당수가 소년이 아니라 50대를 넘긴 초로의 독자들이라는 것은 당연한 현상으로 보인다.
언니, 오빠, 아버지, 어머니처럼 인간의 생물학적 관계를 지칭하는 모국어에서는 거역할 수 없는 운명의 힘이 느껴진다. 그리고 그 모국어 호칭들 속에서는 그 운명의 힘 만큼의 슬픔과 아름다움이 숨어있다. 언니는 어머니보다 가깝고, 오빠는 아버지보다 가깝다. ‘몽실언니’는 아직도 어린 거지 ‘언니’가 삶과 시대의 고난을 자신의 생애 속으로 받아들여가면서 이 세상의 ‘언니’로 넓어져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인간은 어떠한 지경에서도 삶을 부정할 수 없고, 이 세상의 선과 악은 어느 편의 것이 아니라 끝끝내 개인의 것이며, 이념과 총칼로 무장한 욕망의 충돌 속에서 참혹하게 부서져가면서도 인간은 그 역사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 몽실이의 언니된 마음이다.
‘몽실언니’는 비참과 불행의 연속이고, 그 소설 안에서 아무런 행복한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몽실언니’는 결국 해피엔딩이다.
‘몽실언니’의 배경은 어느 특정한 마을과 산천이라기보다는 작가 권정생의 생애이다. 그의 한 평생의 가난과 외로움은 가히 설화적이다. 그리고 지어낸 이야기만 같은 그 설화적 고통은 지난 한 세기 동안 수많은 한국인들의 현실이었다. 이 시대는 이미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으며 어떠한 상처가 남아있는가를 되돌아보려고 하지 않지만, 많은 할머니들이 울면서 이 소년소설을 읽는다.
작가 권정생은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동 산비탈 아래 토굴 같은 흙집에서 혼자 산다. 이 흙집으로 오기 전에는 마을 교회 문간방에 기거하면서 교회 종지기 노릇을 했다. 신장결핵으로 34년 동안 주머니로 소변을 받아낸다. “한달 생활비가 5만원이면 좀 빠듯하고 10만원이면 너무 많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작가 권정생을 “억수로 착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외로운 노인이나 슬픈 일을 당한 할머니들이 그를 찾아와 하소연도 하고 넋두리도 한다. 술집 아줌마들이 자신의 고통으로 ‘몽실언니’의 고통을 이해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오기도 한다. 마을 할머니들이 모여서 ‘몽실언니’를 읽는다. 글을 잘 읽고 눈이 밝은 할머니가 소리내서 읽으면 다른 할머니들은 숨죽여가며 듣는다. ‘몽실언니’는 이제 소년소설이 아니다.
권정생은 1930년대에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인 노무자의 아들로 도쿄 호마찌 빈민가에서 태어났다. ‘몽실언니’는 그 빈민가에서 살았던 가엾은 아이들의 모습이라고 권정생은 말했다. 그는 보릿고개가 고통스러웠던 1946년 봄에 외가가 있던 경북 청송으로 돌아왔다. 먹을 것이 없어서 가족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그는 어렸을 때 나무장수, 고구마장수, 담배장수를 했고 여러 가게의 점원 노릇을 했다. 온 나라에 결핵이 퍼져있었다.
객지에 돈벌러 나갔던 아이들이 결핵에 걸려 고향으로 돌아왔다. 돌아온 아이들은 이내 빨간 피를 토하며 죽었다. 그는 늑막염, 폐결핵, 방광결핵, 신장결핵으로 온 몸이 망가져갔다. 대구, 김천, 상주, 문경을 떠돌며 걸식을 했고, 때때로 산길에 쓰러져 혼절했다. 1967년에 지금 사는 조탑동 마을로 돌아와 정착했다. 그는 기자에게 자신의 생애의 일들을 상술하기를 거절했다. “제발 날 좀 힘들게 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그래서 그의 전기적 사실에 관한 기술은 그가 이미 글로 발표한 내용을 넘지 못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의 비참과 구걸에 대한 사실적 기술이 아니라 그가 “그때 나는 따뜻한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라고 말하고 있는 대목일 것이다. 그리고 이 대목이 아마도 소설 ‘몽실언니’의 발단이고 귀결인 것으로 보인다.
몽실이는 ‘거지’로서 해방된 조국에 돌아왔다. 언니라고 하기에는 너무도 어렸지만, 어린 몽실이가 어른들의 언니 노릇을 해낸다. 소설 속에서 몽실이는 살강마을(안동군 임하면, 현재는 수몰됨)에 살다가 단지 밥을 얻어먹기 위해 남편을 바꾸는 어머니를 따라서 댓골마을(현 안동시 화목리)로 간다.
몽실이의 언니됨은 살강마을이나 댓골 마을이나 다 똑같은 마을임을 아는 데 있다. 아늑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행복이 아니다. 똑같이 아름답고 똑같이 쓸쓸한 마을이었다. 감나무와 대추나무도 똑같다. 친아버지와 새아버지도 다 똑같이 불쌍하고 외로운 아버지들이었다. “어느 쪽이 김씨 아버지이고 어느 쪽이 정씨 아버지인지 잘 가려내지 못할 때가 많았다. 어쩌면 둘은 닮은 데가 많았다. 어머니 밀양댁도 정씨 남편에게 죽도록 얻어맞았었다. 술 취하고 때리는 것이 둘이 똑 같았다”라고 소설은 적고 있다.
몽실이의 그리움 속에서 죽은 친어머니와 새 어머니는 언제나 포개져서 떠오르고, 배가 다른 동생들과 씨가 다른 동생들이 다 몽실언니의 동생들이다. 그렇게 해서 몽실언니의 삶은 행복을 쫓아가는 삶이 아니라 고난 속으로 넓어져가는 삶이다.
몽실언니는 절름발이 걸음으로 절룩거리지만 그 언니는 구걸의 깡통을 차고서도 그 시대의 편가르기와 야만성을 넘어서서 개인의 도덕성에까지 절름거리면서 걸어간다.
‘몽실언니’의 가장 힘세고 아름다운 대목은 그 마지막 페이지들이다. 몽실이는 양공주 노릇을 하는 언니들의 방문 앞에 놓인 미군들의 군화를 노려보면서 흩어져간 동생들을 찾아내기로 결심한다. “몽실이는 그 시커먼 구두를 노려보았다. 그리고는 현관문을 열고 밖으로 나갔다. 싸늘한 밤하늘, 거기 어두운 곳에 별들이 반짝였다. 몽실은 이빨이 부딪치도록 몸을 떨었다”라고 소설은 적고 있다.
소설의 지리적 배경인 댓골마을은 지금은 다들 떠나고 두 집만 남았다. 땅 이름도 화목리로 바뀌었다. 이 마을 박명하(61)씨는 대구에서 건설노동일을 하다가 IMF 초기에 실직하고 다시 인기척 없는 고향으로 내려와 빚더미에 짓눌려가며 농사를 짓고 있다.
“6·25때 이 마을에 피난민들이 몰려들었다. 거지 아이들이 너무나도 많았다. 이 아이들이 지금 내 또래들이다. 피난민들이 밥을 해먹으면 폭격기들이 연기를 보고 쫓아와서 기총소사를 했다”고 박씨는 말했다.
이 마을의 또 다른 주민은 박정하(64)씨다. 다섯 살 때 홍역 끝에 실명했다. 박씨는 고아원에서 자라난 김문희(50)씨와 결혼해서 세 자녀를 두었다. 박씨는 아내와 아들이 어떻게 생겼는지, 손으로 더듬어서 안다고 말했다. 그가 전하는 처자식들의 생김새는 눈뜬 사람이 보아도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김씨는 200평 밭농사로 앞 못보는 남편을 섬기고 세 자녀를 길렀다. 첫째 딸은 부천에서 공장에 다니는데 이미 애인이 생겼고, 둘째 딸은 안동대학교 3학년이다. 막내아들은 입영영장을 받았다. 김씨는 소설 ‘몽실언니’를 모른다고 했다. 그러나 이 나라 산천 구석구석에 힘세고 아름다운 ‘몽실언니’들은 너무나도 많다. 작가 권정생은 “깡통을 차고 헤맬 때도 인간이 아름다워서 눈물겨웠다”라고 말했다.
■권정생 연보
▲1937년 일본 도쿄 출생·1946년 귀국
▲1967년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동에 정착, 이 마을 교회 문간방에서 기거하며 종지기 일을 함
▲동화 ‘강아지 똥’으로 등단
▲동화집 ‘사과나무밭 달님’ ‘짱구네 고추밭 소동’ 소년소설 ‘몽실언니’ ‘초가집이 있던 마을’ 장편동화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등
■'몽실언니' 줄거리
몽실이네는 해방 후 외국에서 돌아온 거지 가족이다. 아버지 정씨는 날품을 팔았고 어머니 밀양댁은 구걸질을 했다. 밀양댁은 남편을 버렸다. 밀양댁은 몽실이를 데리고 댓골마을 김씨한테 시집갔다.
김씨는 밥걱정은 안 했다. 밀양댁은 새 남편한테서 동생 영득이를 낳았고 새 아버지 김씨는 몽실이를 구박했다. 몽실이는 새 아버지의 폭력으로 절름발이가 되었다. 몽실이는 다시 친아버지 정씨한테 갔다.정씨는 남의 집에서 머슴으로 얹혀 살고 있었다. 정씨는 북촌댁한테 새 장가를 들었다. 북촌댁은 가냘프고 착한 여자였다. 북촌댁을 딸을 낳고 굶어 죽었다. 난리통에 태어났다고 해서 새 아기의 이름은 ‘난남이’로 지었다.
전쟁이 터졌고, 정씨는 군대로 끌려갔다. 마을에 인민군이 들어왔다. 인민군들은 마을 사람들을 마구 죽였다. 그러나 인민군들 중에는 마을사람들을 보호해주는 착한 사람들도 있었다.
사람은 다 착해질 수 있는 것이며, 어느 편은 다 나쁘고 어느 편은 다 좋은 것이 아님을 몽실이는 알게되었다. 마을 처녀들은 양공주가 되었다. 양공주들은 검둥이 아기를 쓰레기통에 내다 버렸다. 몽실이는 죽은 아기들을 끌어안고 쓰레기 더미에서 울었다.
전쟁이 끝났다. 군대에 간 아버지는 포로로 잡혀 있다가 절름발이가 되어 돌아왔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살아야 한다’라고 몽실이는 다짐했다. 몽실이는 깡통을 차고 장터거리에 나가서 구걸을 했다. 댓골로 시집간 친어머니 밀양댁은 아기를 사산한 후 심장병으로 죽었다.
몽실이는 배가 다른 동생들과 씨가 다른 동생들을 다 함께 데리고 살았다. 몽실이는 구걸질을 열심히 했다. 아버지의 병은 점점 깊어져갔다. 몽실이는 아버지를 자선병원에 맡기려 했다. 아버지는 병원 문 앞에서 차례를 기다리다가 죽었다. 동생들은 뿔뿔이 흩어졌고, 몽실이는 다시 흩어진 동생들을 찾아 나선다.
삼십 년이 지났다. 몽실이는 구두수선쟁이인 꼽추 남편과 결혼해서 남매의 어머니가 되었다. 배다른 동생 난남이는 폐결핵으로 요양소에 입원해 있었다. 몽실이는 닭찜을 싸들고 한 달에 한번씩 이 요양소로 난남이를 찾아간다.
/안동=김훈 편집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