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 재편이 정가의 핵심 관심사로 떠올랐다. 총선에서 어느 당도 원내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해 정파간 연대가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정계 재편의 틀로는 우선 특정 정당간의 합당을 통한 ‘새판짜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주요 정당들이 모두 부정적이어서 실현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다만, 자민련 이한동(李漢東)총재가 민주당과 자민련의 합당에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변수가 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다음으로 각 당의 간판을 그대로 유지한 채 정부 구성과 원내 활동에서 공조를 유지하는 정파간 연합 형성이다. 총선전 민주당과 자민련 사이의 공동정부 운영이 좋은 예이다. 현실성면에서는 전자의 합당보다는 이 것이 당장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정치권 물밑에서 이를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다는 징후가 엿보이나 아직 확실하지는 않다. 정파간 제휴 경우의 수는 크게 다섯 가지.
민주(+무소속 일부)+자민련+민국+α 대 한나라 민주당이 생각하는 최선의 구도이다. 한나라당을 건드리지 않아 정국 긴장을 최소화하면서 원내 과반의석을 확보하는 길이다. 민주당이 호남의 친여 무소속 4명을 받아들여 의석을 115석에서 119석으로 늘린 뒤 자민련 17석, 민국당 2석에 한국신당 1명 또는 무소속 1명까지 합류시키면 여권은 138~139석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민주당은 자민련 민국당에 정부직 국회직 등을 양보하는 게 필수다.
자민련의 호응이 전제조건으로 박태준(朴泰俊)총리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진다. 한나라당과 ‘구원’이 있는 민국당으로선 이를 굳이 외면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일부에선 “민주 자민련 민국당간의 ‘연립정부’구성 논의가 본격화하면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이 동요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무소속 일부) 대 한나라 대 자민련+민국+α독자적으로 원내교섭단체 를 구성해 보려는 자민련의 노력이 성공하면 가능한 구도이다. 자민련이 주축인 제3의 교섭단체는 완벽한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된다. 원내 과반의석 확보가 아쉬운 민주당이 한나라당보다 우선적으로 이들에게 ‘구애 공세’를 펼 여지가 충분하다. 국회·정부직이 ‘당근’으로 동원될 수도 있다.
민주(+무소속 일부)+민국+α 대 한나라 대 자민련 자민련이 끝내 합류를 거부할 경우 민주당이 차선책으로 도모할 수 있는 안이다. 121~122석의 의석을 갖게 될 민주당으로선 독자 교섭단체가 되지 못한 채 ‘무소속구락부’형태로 있게 될 자민련 의원들과 그때 그때 제휴를 모색해 볼 수 밖에 없다.
민주(+무소속 일부)+자민련+민국 대 한나라+α민주당이 세불리기에 나서면 한나라당도 가만 있지 않고 한국신당 무소속 의원 등을 상대로 몸 부풀리를 시도할 개연성이 있다. 다만, 대상은 한국신당 무소속등 1-2명으로 제한돼 있다.
민주(+무소속 일부)+민국+α 대 한나라+자민련 자민련이 민주당을 끝내 외면한 채 한나라당과 손잡는 상황이다. 자민련 의원들의 성향 등을 감안해 보면 현실성은 낮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이렇게 되면 야당이 과반의석을 확보하게 돼 민주당으로선 가장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