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정기 주주총회를 앞둔 대기업들이 「스톡옵션 고민」에 빠져 있다. 특히 인터넷, 정보통신 열풍으로 심각한 인력유출난을 겪고 있는 전자업계는 자사주 매입 청구권(스톡옵션) 도입을 불가피하게 여기고 있지만 지급대상이나 물량한도를 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스톡옵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인력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달랠 방법도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당초 2월말-3월초로 주총 일정을 잡아놓았던 삼성전자는 스톡옵션 문제를 정리하느라 3월 16일께로 보름 가까이 늦췄다. CEO(최고경영자)와 핵심인력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한다는 계획은 섰으나, 어느 정도의 주식을 나눠줄 것인 지를 놓고 부심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전자 주식수는 모두 1억5,000만주로 시가총액이 37조원(주가 25만원 기준)이 넘는다. 1%의 주식만 스톡옵션 대상으로 해도 150만주에, 3,700여억원 어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말하기 힘들다』면서도 『1% 미만의 주식이 대상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LG전자와 LG정보통신도 3월중 열릴 예정인 주총에서 스톡옵션 도입을 위해 정관을 개정할 계획이다. 스톡옵션 대상 물량은 현재 증권거래법상 총 발생주식의 15% 이내에서, 대상자는 제한이 없지만 어느 선으로 정할 지를 최종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LG그룹 관계자는 『경영진과 연구개발 인력을 중심으로 스톡옵션을 실시할 것을 검토중이나, 일반 지원부서나 생산부서의 반발등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지난해 12월 임시주총에서 전체 임직원의 7%선인 1,500명을 대상으로 500만주를 스톡옵션으로 주기로 결의한 바 있는 현대전자는 이번 주총에서는 일정 직급에 도달하거나, 개인별 성과가 뚜렷할 경우 스톡옵션을 주는 식으로 지급폭을 확대할 전망이다. 현대전자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는 직급에 상관없이 스톡옵션을 주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벤처기업과 달리 직원이 수만명인 대기업에서는 「누군 주고 누군 안주는」식의 스톡옵션이 불가피하다』며 『가뜩이나 상대적 박탈감이 심한 요즘 상황에서 스톡옵션 대상과 한도에 대한 컨센서스가 없으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윤순환기자
goodma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