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낙동강 물고민 '강변여과수'로 푼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낙동강 물고민 '강변여과수'로 푼다

입력
2000.02.16 00:00
0 0

낙동강 하류에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상수원이 개발된다. 환경부는 15일 유럽 제국이 채택해온 강변여과수(江邊濾過水·Bank filtrtion) 취수방식을 국내에 도입, 이르면 2003년부터 시민들에게 새로운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강변여과수는 하천으로부터 50-300㎙ 떨어진 둔치에 깊이 20~40㎙의 취수정을 뚫어 하천변 대수층(帶水層)으로 스며든 강물과 지하수를 취수하는 방식.

강물에서 취수한 물을 직접 약품처리하는 대신, 지하로 스며들면서 오염물질이 자연적으로 여과된 물을 재차 정화해 사용하는 것이다. 낙동강물을 농업용수로조차도 사용하기 꺼린다는 지역주민들에게 「자연방식 →인공방식」으로 2단계 정화를 거친 물을 공급하게 되는 셈이다.

환경부가 경남 함안군 칠서면 이룡지구에 1998년 시범개발한 강변여과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물을 그대로 취수했을 경우에 비해 수질이 월등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수원을 오염시키는 사고가 발생해도 취수를 중단하지않고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 강변여과수는 정수처리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 톤당 생산원가(2만톤 생산기준)가 168.1원으로 기존 정수방식의 220.5원에 비해 훨씬 싼 것은 정수과정에서 투입하는 약품비용이 그만큼 적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취수원 일대를 상수원보호구역으로 규제할 필요가 없어 지역주민들의 반발을 막을 수 있다는 것도 이점이다.

자치단체 가운데에는 이미 경남 창원시에서 강변여과수 취수장을 설치, 1998년 2월부터 하루 2,000톤 정도의 수돗물을 대산면 일대 5,000가구에 공급하고 있다. 환경부도 시범사업으로 이룡지구에 34억원을 들여 하루 5,000톤을 취수할 수 있는 관정 5개를 설치한 데 이어, 인근 김해시 상동면 용산지구에도 1999년 3월까지 21억원을 들여 하루 5,000톤을 뽑아 올릴 수 있는 관정 6개를 완성했다.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상수원 개발에 들어가 창원시 갈전지구에 2004년까지 300억원을 들여 하루 5만톤의 강변여과수를 취수할 수 있는 시설과 정수장, 도수관로(2㎞)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룡지구의 취수원도 2003년까지 174억원을 들여 하루 2만톤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로 확대한다.

환경부는 궁극적으로는 낙동강 일대에 하루 생산량 50만톤 규모의 강변여과수 시설을 갖춰 이 지역 수돗물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바꿔놓겠다는 청사진을 갖고 있다.

강변여과수 방식의 취약점은 부지선정의 제약. 우선 토양이 물을 잘 거를수 있는 충적토이어야 하고, 취수정을 설치할 수 있도록 폭 500㎙이상의 넓은 부지가 확보되어야 한다. 또 비료로 인한 토양오염 등을 피해야 하기 때문에 농경지도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때문에 낙동강 일대라 하더라도 강변여과수를 취수할 수 있는 지역은 한정돼 있다는 게 환경부의 고민이다. 한강 등 다른 지역은 2004년이후에나 설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정정화기자

jeong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