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한 종목이 훨씬 많은데도 왜 종합주가지수는 오를까. 혹시 지수산정에 오류가 생긴 것은 아닐까』거래소의 종합주가지수나 코스닥시장의 코스닥종합지수는 시장 분위기와 상관없이 오르거나 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올해만 해도 상승종목이 하락종목을 앞섰는데 지수가 하락하거나 하락종목이 많은 데도 지수가 상승한 경우가 코스닥 2차례, 거래소는 5차례나 됐다. 지수가 시장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는 시가총액이 큰 종목의 변동이 지수변동을 좌우하는 지수산정 방법 때문이다. 체감지수가 거론되고 주가지수 무용론까지 나오면서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주가지수 개발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 종합주가지수의 문제점
거래소와 코스닥 시장 모두 종합지수 산정방식은 당일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으로 나누는 시가총액식. 따라서 시가총액 비중이 큰 종목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거래소의 경우 시가총액 상위5개사의 비중이 절반에 가까운 45%정도로 이들 빅5종목이 한꺼번에 하한가를 기록한다면 나머지 700여개 종목이 모두 상한가를 치더라도 지수는 변동이 없다는 계산이 나온다. 시가총액 상위10개 기업의 비중이 47.64%인 코스닥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
몇개 특정 종목이 시장을 좌우하면서 기관은 웃고 개인은 우는 경우도 발생한다. 기관은 시장수익률을 맞추기 위해 대부분 시가총액 상위종목을 편입해 놓고 있지만 개인투자자는 이들 고가종목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대부분 종목이 하락하면서도 고가주가 지수를 견인하는 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의 희비가 교차할 수 밖에 없다.
증권거래소는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시가총액 200위내 업체만을 따로 모아 KOSPI200(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을 보조지수로 활용하고 있다. 채용종목수가 적어지면 시황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다음달 부터는 KOSPI200종목 가운데 50개와 100개를 선정해 KOSPI50과 KOSPI100도 가동할 계획이다.
그러나 KOSPI신지수가 제대로 정착되고 시장을 정확히 반영할 지에 대한 의문은 끊이지 않는다. 증권연구원 오창석 박사는 『시가총액 방식뿐 아니라 전체종목의 주가를 합산해서 종목수로 나누는 주가평균 방식 등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의 러셀500과 같이 중소형주만을 대상으로 한 지수의 개발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 외국의 사례
미국의 경우 뉴욕거래소의 3,000여개 종목과 나스닥시장의 4,000여개 종목을 상대로 다양한 지수들이 개발돼 있다. 뉴욕거래소를 대표하는 다우지수와 나스닥시장의 나스닥지수가 잘 알려져 있지만 양시장과 미국증권거래소(AMEX)에서 500개 종목을 선별해 만든 S&P500이 오히려 더 널리 이용된다. S&P500지수는 선물과 옵션형태로 뉴욕과 시카고거래소 등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엔 도쿄거래소가 1부시장에 상장된 전종목을 대상으로 산정하는 TOPIX가 공식지수. KOSPI와 유사점이 많은 방식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는 닛케이(日經)신문이 발표하는 닛케이평균주가가 더 유명하다. 도쿄거래소의 225개 종목을 대상으로 시가총액방식이 아닌 주가평균식으로 계산한다. 최근에는 대주주나 모회사의 고정지분을 제외하고 산출하는 S&P·TOPIX500이라는 지수가 개발되기도 했다. 황제주로 떠오른 NTT도코모의 시가총액이 모회사인 일본전신전화(NTT)를 능가하면서 나타난 자본구조의 왜곡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기업과 자회사의 주식을 중복계산하지 않는 방식이다.
영국은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가 발표하는 FTSE100지수가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도 일부 경제지가 자체 개발한 지수를 밝히고 있지만 활용도는 미미한 편이다. 동양증권도 최근 거래소와 코스닥 종목을 섞어 TYIX80지수를 개발, 시황지를 통해 발표하고 있지만 아직은 초보단계. 증권업계는 민간기관이 새로운 지수개발에 앞장서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TYIX80지수를 만든 동양증권 정균 대리는 『주식시장 참가자가 증가하면서 투자의 판단기준도 다양해 지고 있다』며 『공신력있는 민간기관이 적극적으로 정보제공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정곤기자
kimj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