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지평선] 머나먼 新경제
알림

[지평선] 머나먼 新경제

입력
2000.02.08 00:00
0 0

1991년 3월부터 시작된 미국 경제의 호황이 올 2월로 107개월째로 접어들어 사상 최장기를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전 특수 등으로 누렸던 61년 2월부터 69년 12월까지의 106개월 호황 기록을 깬 것으로, 언제 끝이 날 지 예측하기가 힘들다. 전후 최악의 불황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일본과, 유로화 약세에서 보듯 아직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유럽에 비교하면 놀라운 현상이다. 세계 경제에서 미국만이 단독 승자인 셈이다.■저실업-저인플레이션-고성장이라는 미국 경제의 모습은 종래의 경제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어 「신경제(New Economy)」라고 불린다. 인터넷과 컴퓨터의 확산 등 정보기술(IT)의 발달, 강한 달러에 의한 국제자금의 흡수, 유연한 노동시장 등이 이유로 꼽히고 있다. 신경제에 대한 반발도 적지 않다. 루빈 전 미 재무장관은 신경제론이 앞으로 계속 들어맞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고, 그린스펀 미 FRB의장은 오래전부터 미 경제의 과열을 경고하고 있다.

■우리에게도 신경제는 가능한가. 최근 민간경제연구기관들이 이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지만, 결론은 「아직은 멀었다」는 것이다. 통신·금융서비스 분야 등을 포함한 지식기반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지고 있는데다 열악한 경제환경으로 정책 선택에 많은 제약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국에서 배울 점은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다. 90년대초만해도 불황에 허덕이는 모습에 「미국 쇠퇴론」까지 들먹였던 일본은 미국 장기 호황의 계기를 미국 정부와 기업이 자신들의 문제를 진지하게 연구해 적절한 전략을 세웠던 데서 찾고 있다. 엄격한 규율에 의한 개인과 기업의 치열한 시장경쟁 시스템을 확실히 정착시킨 것이 미국 경제의 장기 호황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국내 코스닥 시장은 미국 나스닥 움직임에 지나치게 민감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본인 경제 전반에서는 너무 느리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 신경제와 멀어지는 진짜 이유가 아닐까. /이상호 논설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