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간의 선거구 기준이 최종 조율 단계에 들어가면서 의원들 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협상과정에서 막판까지 의원들의 애간장을 녹인 문제는 인구상하한선 문제와 인구수 기준 시기를 언제로 잡는지 여부.협상초반「8만5,000-34만」,「8만-32만」을 오가던 상하한선이 「8만-30만」쪽으로 기울다 14일 최종적으로 「7만5,000-30만명」으로 낙착되자 의원들의 정치생명이 엇갈렸다.
국민회의 박정훈 의원은 지역구인 임실·순창의 인구수가 기준선인 7만5,000여명에 불과, 지역구가 공중분해될 위기에 처했으나 막판에 「턱걸이」로 회생했다. 정균환 의원과 김진배의원도 지역구인 고창과 부안이 각각 8만명에 미달돼 통합 위기에 처했으나 무난히 하한선 7만5,000을 넘겨 한숨을 돌렸다.
한나라당에선 인구 7만9,000명인 정창화 의원이 「죽었다가 살아난」케이스. 자민련 김종호충북괴산)부총재와 이긍규(충남 서천)총무도 지역구 인구가 8만명에 미달,「고사」위기에 몰렸다가 구제됐다. 정치권에선 이총무가 협상당사자였던 점을 의식,『회생한 의원들은 이총무에게 감사해야 할 것』이라는 우스개 소리도 나왔다.
한나라당에서는 부산 남 갑·을의 이상희 김무성 의원이 통합위기에서 극적으로 탈출, 최대 수혜자가 됐다.
부산 의석 지키기에 나선 한나라당의 의견이 강하게 반영돼 인구기준을 연말이 아닌 지난해 10월말로 삼았기 때문. 당초 같은 행정지역인 두 지역구는 지난해 11월을 고비로 두지역 합계 29만9,636명을 기록, 통합이 불가피했으나 10월말로 기준이 잡힘에 따라 30만678명으로 상한선에 턱걸이, 가까스로 분구를 유지했다.
최대의 피해자는 국민회의 양성철 의원. 지역구인 전남 곡성·구례의 인구가 지난해 12월 「고향지키기」운동에 힘입어 전월보다 1,200여명이 증가한 7만5,851명을 기록, 12월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당연히 살아났어야 했다.
그러나 기준시기가 지난해 10월말로 잡힘에 따라 하한선인 7만5,000명에 미달, 타지역으로 흡수되는 「비운」을 맛보았다. 더우기 지난해 9월까지는 7만5,000명선을 유지했던 터라 더욱 아쉬움이 컸다. 7만5,000명에 미달된 국민회의 배종무(전남무안) 한나라당 노기태(경남 창녕)의원도 지역구가 사라졌다.
이태희기자
taehee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