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세계 대책망'로넷' G7등에 구성제의「국제 사이버 범죄를 차단하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 구멍이 뚫리는 사건이 발생하자 우선적으로 미국이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재닛 리노 법무장관은 10일 『정보 도둑질이나 사이버 테러같은 범죄에는 응분의 대가가 따라야 한다』며 범세계적인 사이버 범죄 대책망인 「로넷(LAWNET)」을 구성하자고 제의했다.
그는 이를 위해 미 법무부가 서방 선진7개국(G7), 러시아 등과 범죄대책망을 구축하고 범죄 수사자료 공유와 화상을 통한 증인 신문에 서로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사이버 범죄자에 대한 인도 및 처벌 등의 규정이 없는 종래의 범죄인 인도협정도 시대에 맞게 손질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이처럼 국제 사이버 범죄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은 그동안 사이트를 침범하는 단순 해킹을 넘어 최근 전자상거래의 주요 결재수단인 신용카드의 정보까지 해킹돼 범죄에 이용된 사건이 발생했기때문.
더욱이 이들 범죄가 주로 미국과 범죄인 인도협정을 맺지않은 동구권 등의 국가에서 일어나고 있어 미국인들이 피해를 입고 있지만 미국 정부로서는 범인의 기소는 물론 수사조차 할 수 없는 실정이다.
10일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의 인터넷 음반판매업체인 「CD 유니버스」의 웹사이트에 해커가 침입, 고객의 신용카드 파일을 빼낸뒤 이 회사에 10만달러를 내놓을 것을 협박하다 거부당하자 2만5,000개 이상의 신용카드 번호를 인터넷상에 공개했다.
스스로를 「러시아 출신의 19살 난 막심」이라고 밝힌 범인은 회사측이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지않자 지난해 크리스마스때 신용카드 파일을 인터넷 웹사이트(Maxus Credit Pipeline)에 올렸고 9일 오전 폐쇄될때까지 수천명이 이를 다운로드 받아갔다.
유출된 신용카드의 번호중 일부는 1만달러 이상의 불법 구매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막심 자신도 신용카드 인증 프로그램의 보안상 허점을 이용, 지난 1998년에도 신용카드를 빼내 인터넷 채팅이나 음성 웹사이트를 통해 거래해왔다고 주장했다. 연방수사국(FBI)이 수사에 나섰지만 범행이 동유럽의 한 나라에서 저질러진 것으로 파악했을뿐이라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이와 함께 미국의 노스웨스트 항공도 지난달 중순 웹관리자가 온라인을 복구하면서 보안장치를 켜지않아 고객이 마일리지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신용카드 번호와 신상정보의 보안이 침해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노스웨스트는 지난주 5,000여명의 고객에게 사과 이메일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권혁범기자
hbk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