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남부 개발현장수도권 남부지역의 신개발지로 급부상하며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는 경기 용인지역이 주먹구구식 개발과 무분별한 아파트 건축 허가 등으로 최악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하고 있다.
90년대초 인구 20만명에 불과하던 용인시는 최근 기흥, 수지, 구성 등 서북부지역의 급성장과 함께 현재 인구 40만명에 육박하는 중급도시로 성장했으며 2005년 67만명 2016년 85만명의 거대도시로 발돋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택지개발이 분당이나 일산에 적용된 체계적인 차원이 아니라 국지적 개별형태로 이뤄지고 있어 상하수도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은 물론 교육 문화 등 주민편의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기형도시로 전락해가고 있다.
이같은 난개발의 중심에 서있는 지역은 기흥읍과 수지읍일대.
서울 강남에 거주하다가 지난 해 7월 용인시 기흥읍 신갈리 모아파트로 이주한 김모(41)씨는 매일 출퇴근길마다 한차례 전쟁으로 몸살을 앓는다.
경부고속도로와 국도를 접하고 있어 서울 진입이 30분이면 족하다는 아파트업체의 광고와는 달리 23번국도를 빠져나와 고속도로 진입로인 판교IC까지 오는데만 30분이 소요되며 이 곳에서 다시 분당지역 차량들과 합세, 서울에 도착하려면 2시간은 족히 걸리기 때문. 김씨는 『현재 인구 6만명선에서 이 정도인데 앞으로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두배이상 늘어나게 되면 도저히 생활할 수 없을 것같아 다시 서울로 이사갈 것을 고려중』이라고 말했다.
용인지역에서도 가장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인 수지일대는 더욱 심각하다.
수원, 성남과 인접한 수지지역은 96년 읍승격당시만 해도 인구 5만명을 겨우 넘었으나 매년 인구증가율이 50%를 넘어서면서 올해중으로 12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때문에 이미 입주한 주민들과 새로 짓는 아파트업자와의 마찰이 끊이지 않는 대표적인 민원지역이 돼버렸다.
지난해 12월 상쾌한 전원도시생활을 만끽하기 위해 용인시 수지읍 성복리 모아파트로 이사한 이모(45)씨는 아파트와 접한 43번국도를 질주하는 자동차의 소음과 대규모 택지개발에 동원된 공사차량들이 쏟아내는 먼지로 창문을 열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 인근 약수터는 변변한 운동시설조차 없어 인근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간단한 몸풀기를 하는 것이 운동의 전부이며 백화점이나 할인마트를 이용하려면 분당이나 수원까지 차를 타고 가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이씨는 『용인지역 신개발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현주소는 쾌적한 환경과 확뚫린 교통여건이라는 업체들의 광고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다』며 『그나마 최근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택지개발지구로 지정, 체계적인 개발을 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용인=한창만기자 cmhan@hk.co.kr
■ 경기북부 개발현장
고양시가 최근 풍동지구에 이어 일산2지구가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면서 또다시 개발열풍에 휩싸이고 있다. 2011년 인구 100만명(현재 78만명)을 수용하는 도시계획을 세웠지만 각종 개발계획이 완료되는 2004년이면 100만명을 초과하는「광역시」로의 성장까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로 통하는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 부족과 일부 지역은 도시계획을 포기한 채 난개발이 한창이어서 주거환경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여기에 인근 파주시에서 대규모 택지개발과 대형 건설 사업 등 개발이 가속화하고 있어 고양시의 도시기반여건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
일산신도시에서 서울 강남으로 매일 출퇴근하는 회사원 이모(40·일산구 마두동 삼성아파트)씨는 매일 아침마다「출근전쟁」을 벌인다. 장항IC에서 행주대교를 거쳐 성산대교까지 빠져나가는데 평소 20분 거리가 출근시마다 도로에서 1시간 이상을 허비하기 때문. 이씨는 내년말까지 고양시의 절반을 차지하는 개발제한구역이 30%가량 해제될 예정인데다 2004년까지 2개 지구의 택지개발을 비롯, 10개 지역의 주택지와 18만평 규모의 공업단지 조성 등이 잇따르자 2001년초에 다시 서울로 이사할 계획을 세웠다. 2004년까지 최소 20만명이 유입될 전망인데도 서울과 연계된 도로에 대한 확장계획도 없는 실정이다.
고양·파주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간선도로는 자유로, 통일로, 수색로, 서오능로 등 4곳. 특히 자유로는 올해초 김포 사우지구 등 김포지역의 택지개발이 완료될 예정이어서 교통체증이 더욱 심화할 전망이고 수색로와 통일로 등의 서비스 수준도 C급(평균통행속도 29㎞이상)미만에 불과하는 등 간선도로의 교통소통이 갈수록 원활하지 못하다.
인근 파주 교하 및 금촌1·2 택지지구에 2005년까지 10만여명이 입주할 예정인데다 지구지정을 앞둔 25만평 규모의 운정 및 교하2, 야당택지개발, 통일동산 및 출판문화정보산업 단지 조성 등으로 대규모 교통량 유발이 예상된다.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주거환경도 크게 훼손되고 있다. 고양시 일산구 일산1·2동과 탄현동 일부 지역에 5,000여 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건설중이다. 이 곳에 들어선 일산1동 D·H아파트, 일산2동 S아파트 등은 대부분 200~600가구 규모지만 도로 학교 공원 쇼핑센터 등 도시기반시설들을 갖추지 못해 2~3년내입주가 이뤄지면 주민들이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될 전망이다.
주민 한모(33·일산구 일산동)씨는『집 주변을 아파트가 에워싸 교통불편과 소음 등의 불편을 겪고 있다』며『지역 전체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지 않아 아파트 숲사이에 단독주택과 재래상가가 밀집돼 슬럼가를 방불케한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이같은 사정은 우후죽순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는 풍동과 고양동, 능곡동 지역도 마찬가지다.
김혁기자
hyukk@hk.co.kr
■[월요포커스] "개발 안하면 집값 폭등"
수도권 지역의 난개발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있다.
하나는 정부가 승인한 택지개발지구 지정에 따른 아파트 건립과 다른 하나는 준농림지에서 이루어지는 마구잡이식 소규모 개발이다.
5대 신도시건설이 착공에 들어간 이후인 90년부터 지금까지 서울과 수도권에 들어선 택지개발지구가 98개에 이른다. 일산 신도시의 4배에 가까운 2,000만평에 달하고 이들 지구내에 총 55만가구의 주택과 대전시보다 큰 규모인 170만 7,000명의 인구가 몰려들고있다. 또 준농림지 개발이 무질서하게 이루어지면서 95년부터 지금까지 준농림지내에 건설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수도권만 12만8,000가구에 달한다. 따라서 수도권 지역에서만 택지개발지구와 준농림지에 지어진 주택이 200만가구에 육박하고있는 것이다.
이들 택지개발지구와 준농림지는 주로 이미 기반시설이 들어서있는 수도권 5개 신도시를 중심으로 들어서고있어 신도시의 교통, 상하수도, 교육시설 등 각종 기반시설에 과부하를 주고있는 것이다.
특히 일산신도시 주변에는 고양 탄현2, 고양 중산2, 고양 풍동, 고양 일산2, 파주 금촌 ,파주 금촌2 등 , 분당신도시 주변에는 용인 수지2, 용인 동천, 용인 신봉, 용인 죽전, 용인 구성, 용인 보라 등의 택지개발지구가 집중 지정되어 신도시 기반시설에 「무임승차」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한해동안 수도권에서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된 것만도 김포 장기, 고양 풍동, 고양 일산2, 용인 구성, 용인 보라, 화성 봉담등 6개지구 167만평이고 개발계획 승인이 난 것이 용인 동백, 용인 죽전, 파주 금촌2, 기흥 신갈 등 4개지구 243만평에 이르고있다. 올해에도 용인 서천 등 5~6개 택지개발지구가 수도권에서 신규로 지정될 예정이지만 문제는 광역교통대책 등이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택지개발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택지개발지구의 경우 그나마 지구내의 기반시설이라도 확보하고있다. 반면 준농림지 개발의 경우 단지내에서조차 기반시설이 공급되지 못하는 실정.
하지만 앞으로도 택지개발지구는 계속 수도권 주변에 공급될 수 밖에 없다.
주택보급률이 전국적으로는 92%를 넘어섰으나 서울의 경우 여전히 70%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수도권에 택지를 공급하지 않으면 서울지역의 주택난이 심각해지면서 전세값과 집값의 폭등이 불가피하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택지개발지구 주변에 대한 광역교통계획 등이 완벽히 수립된 뒤 지구지정을 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옳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조재우기자 josus6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