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치의 화두는 당연히 화합과 희망이어야 한다. 화합을 이뤄내는 정치,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가 펼쳐져야 한다. 올해만의 짧은 희망이 아니라, 새천년 민족의 웅비를 가능케 하는 길고도 장엄한 희망이다.세계는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돌입했다. 세계는 지금 광속의 빠르기로 변하고 있다. 이 변화에 능동적으로 부응하지 못하면, 선진의 끝자락에서 또다시 후진의 대열로 영영 뒤쳐지고 만다. 지난 날의 정치는 바로 이 디지털 세계로의 진입을 가로막는 아날로그의 정치, 구태의 정치였던 셈이다. 이제 정치는 변해야 하고, 디지털 세상에 맞게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연말과 연초 정치권에서 감지되고 있는 변화의 조짐은 참으로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여야가 대화를 통해 타협의 실마리를 풀어가고 있는 것이나, 새해 벽두 여야 대표들이 앞다퉈 상생의 정치, 화합의 정치를 다짐한 것등은 유의할만한 대목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치권의 이같은 의지가 실천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그것을 국민들이 눈으로 확인하는 일일 것이다.
그에 관한 첫번째 시험이 김대중대통령과 이회창한나라당총재간의 여야총재회담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 회담에서 생산적 결론을 도출해 낸다면 국민들은 그야말로 희망을 갖기 시작 할 것이며, 정치의 변화를 실감하게 될 것이다. 여야가 조건이 없다고 하면서도 이면에선 조건을 내세워 회담성사가 늦어지거나, 막상 생산적 결론을 도출해내지 못한다면 국민적 실망감은 크지 않을 수 없다. 선거법과 언론문건 국정조사문제등 여전히 어려운 숙제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새시대의 의미를 되새긴다면 그 정리는 어렵지 않다. 많은 사람들은 정치권이 이런 문제들에 대해 어제의 시각에서가 아닌, 미래의 시각에서 바라보기를 권유하고 있다. 도농 복합선거구제가 여전히 합당한 것이냐, 언론문건 국정조사를 해야 하느냐 등을 미래의 시각에서 바라 본다면 그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게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지금의 정치권이 과연 새로운 전형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궁금증을 갖고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 궁금증은 4월 총선에서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정치권은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지역정서를 최소화 시키고, 돈을 적게 들이며, 깨끗하게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데 지금부터 열과 성의를 다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디지털 세상에 맞도록 변하는 것이 지금의 정치권이 살아 남는 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