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신년특집 2000] 용은 어떤 동물인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신년특집 2000] 용은 어떤 동물인가?

입력
2000.01.01 00:00
0 0

『머리는 낙타와 같고 뿔은 사슴과, 눈은 토끼와, 귀는 소와, 목은 뱀과, 배는 조개와, 비늘은 잉어와, 발톱은 매와, 주먹은 호랑이와 같다. 등에는 81개의 비늘이 있으며, 그 소리는 구리로 만든 쟁반을 울리는 것과 같다. 그리고 용염(龍髥·입 언저리에 나는 수염)과 용주(龍珠·턱 밑에 있는 구슬), 용조(龍爪·발톱), 용각(龍角·뿔)을 갖고 있다』.중국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본초강목(本草綱目)은 용의 형상을 이같이 묘사하고 있다. 새 밀레니엄이 시작되는 2000년은 단기 4333년 경진년(庚辰年) 용의 해. 용은 여러 동물이 가진 장점을 모은 상상의 동물로, 인간에겐 항상 초자연적인 능력을 갖춘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한자학습서인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용이 「미르 룡」으로 표기돼 있다. 미르의 어근은 「밀」로서 물(水)의 어원과 같다. 채소 중 하나인 미나리의 미가 곧 물의 옛말이다. 이처럼 용은 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밖에 용과 관련된 말로는 「이무기」, 「이시미」, 「영노」, 「비비」 등이 있다. 이무기는 용이 되려다 못된 특별한 능력을 가진 뱀으로, 깊은 물 속에 사는 큰 구렁이로 상상돼 왔다. 이무기가 1,000년을 묵으면 용이 돼 하늘에 오른다고도 한다. 「용 못된 이무기 심술만 남더라」라는 속담도 여기서 생겨났다.

이시미는 이무기의 사투리. 인형극 「꼭두각시」 각본에 보면 사람이나 짐승을 함부로 잡아먹는 괴물로 등장한다. 영노는 「동래야유」, 「통영오광대」 등의 탈춤에 등장하는 괴물로, 그 울음소리를 따서 「비비」라고도 한다. 이처럼 용을 지칭하는 순수 우리말이 많았지만, 지금은 한자어인 龍의 위세에 눌려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용은 12간지(干支) 중 유일하게 실재하지 않는 동물이자 봉황, 기린, 거북과 함께 4대영물의 하나로 꼽힌다. 특히 한자문화권에서는 신화와 전설을 넘어 신앙의 세계에서까지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 삼국통일 이후 불교가 호국신앙으로 발전하면서 용은 불법(佛法)을 보호하고 국가를 수호하는 여덟 신장(神將)의 하나로 부각됐다. 신라 최대사찰의 이름도 황룡사(黃龍寺)였다.

민간에서도 용을 못이나 강, 바다 속에 살면서 비나 바람을 일으키는 신앙의 대상으로 여겼다. 신라시대의 사해제(四海祭), 고려시대 사해사독제(四海四瀆祭), 조선시대 용신제(龍神祭) 등은 용을 섬기는 민간신앙의 대표적인 예.

지금도 일부 지역에선 식수의 고갈을 막고 풍년을 비는 용왕굿, 용신제 등을 지내고 있다. 어민들의 용왕제(龍王祭)나 풍어제도 바다를 지배한다고 믿는 용왕께 드리는 제의이다. 용왕제는 정월이나 이월 초 만조 때 동네 아녀자들이 주관해 뱃길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의식.

용은 장엄하고 화려한 외양 탓에 흔히 천명(天命)을 받아 만물을 다스리는 왕권에 비유됐다. 이 때문에 임금의 얼굴을 용안(龍顔)이라 하고, 임금이 앉는 자리를 용상(龍床), 임금이 흘리는 눈물을 용루(龍淚), 임금의 옷을 곤룡포(袞龍袍)라고 했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임금의 즉위를 용비(龍飛)라고 한데서 지어진 이름이다.

용꿈은 돼지꿈과 함께 길몽(吉夢)의 쌍벽을 이룬다. 용은 권력을 상징하는 만큼 용꿈은 태몽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힌다. 「홍길동전」에서는 아버지 홍판서의 꿈에 용이 나타나 홍길동의 탄생을 점지해 주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천진기(天鎭基)씨는 『우리 민족에게 용은 웅비와 비상, 희망의 상징인 동시에 지상 최대의 권위를 나타내는 동물로 숭배돼 왔다』며 『21세기의 출발점인 경진년 용의 해에는 승천하는 용의 기운이 온나라에 퍼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다. 고재학기자

goindol@hk.co.kr

■ [신년특집 2000] '용의 해' 일어난 사건들

임진왜란. 서울올림픽 등 굵직

용의 해에는 다른 해에 비해 파란이 많았다. 크게는 임진왜란(1592년)과 노일전쟁(1904년)이 용해에 일어났고, 고려 때인 1196년에는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등 많은 관료들을 죽이고 무단정권을 세웠다. 조선초인 1400년에는 왕자의 난이 일어나 우여곡절 끝에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올랐다. 근래에는 52년 발췌개헌 파동이, 64년 한일회담 파동이 있었다. 하지만 60년을 주기로 순환하는 경진년에는 별다른 사건이 없던 조용한 해로 기록돼 있다.

▲668년=나당(羅唐)연합군 고구려 도읍인 평양성 함락, 삼국통일

▲1232년=몽골의 2차 침입, 강화도 천도

▲1388년=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

▲1400년=제2차 왕자의 난, 이방원(李芳遠) 왕위에 오름

▲1592년=임진왜란, 일본군 21만 조선 침략

▲1892년=동학교도 교조신원운동 전개

▲1904년=한일의정서 조인, 노일전쟁, 대한매일신문 창간

▲1916년=경복궁 부지에 총독부 청사 기공

▲1940년=창씨개명 실시, 임시정부 한국광복군 창설

▲1952년=거제도 공산포로 폭동

▲1964년=대일 굴욕외교반대범국민투위 결성

▲1976년=양정모(梁正模) 몬트리올올림픽 금메달,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1988년=제24회 올림픽 서울에서 개막, 국회 광주·5공비리특위 구성

■[신년특집 2000] 역학으로 본 새해 운세

국운 상승 기운속 그늘도...

새 천년이 시작되는 경진년(庚辰年)에는 어떤 일들이 우리 앞에 기다리고 있을까. 한국일보 「오늘의 운세」 기고자인 백운산 한국역술인협회 수석부회장은 『새 해는 역리학상으로 산고택수곤(山高澤水困), 즉 산이 높고 물밑이 어두운 운세를 갖고 있다』고 풀이한다. 국운상승 기운이 충만해 있지만 그늘이 있으므로 방심하지 말고 문제를 지혜롭게 풀어나가려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

정치적으로는 지난 해에 태동한 변화의 기운들이 곡절을 겪겠지만 결실을 맺을 것이며 경제, 종교적으로 예기치 못한 일들이 벌어지겠다. 남북 관계의 경우 타산적인 계산속에서 약간의 발전은 있겠으나 돋보일만한 성과는 없을 것이라는 예언이다.

토담철학원의 김덕영 원장은 『개인들은 상리공생(相利共生)의 마음가짐, 즉 타인을 적으로 여기지 말고 서로 돕고 이익을 얻는 관계로 여겨야 일이 잘 풀릴 것』이라고 조언한다. 원숭이, 쥐 띠는 화(火), 수(水), 풍(風)의 삼재(三災) 기운이 있으므로 건강, 교통사고, 보증을 조심해야 한다. 용띠는 북쪽으로 이사하거나 새 집을 짓는 것은 피하고 남쪽의 일을 할 때는 매매나 문서 작성에 신중해야 한다.

이민주기자

mj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