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두뇌한국 21」(BK21)사업 인문·사회 분야에 성균관대, 서울대, 고려대 등 11개 대학 18개 연구팀이 선정됐다.교육부는 8일 올해 말부터 7년간 이들 연구팀에 팀별로 12억 5,000만-2억 4,000만원씩 매년 1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성균관대는 유교문화, 경제학, 사회학 등 3개 분야에서 단독으로, 아동학 분야에서 동덕여대와 컨소시엄 형태로 선정돼 모두 4개 분야에 뽑혔다.
서울대는 인문대가 불참을 선언한 상태에서 7개 분야에 응모, 법학 등 3개 분야에 선정됐다. 고려대도 한국학 등 3개 분야에 뽑혔다. 이번 인문·사회 분야 지원대학 선정으로 BK21사업은 과학기술분야까지 올해부터 7년간 총 1조 4,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광일기자
kilee@hk.co.kr
■BK21은 수익사업?
「두뇌한국21」(BK21) 인문·사회분야 선정 결과는 7년간 1조4,000억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이 방향성을 잃고 표류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
교육부는 최근 『인문·사회분야도 (과학기술분야처럼) 나눠먹기 식으로 지원하면 예산을 배정하지 않겠다』는 기획예산처의 경고를 지나치게 의식한 나머지, 「산술적」 집중지원의 편법을 택했다. 그 결과 전체 지원대상중 인문분야는 32%(지원액 36억원)에 불과하고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사회분야에 68%(64억원)가 집중됐다.
특히 경제학은 3개, 경영학과 정치학은 2개팀씩을 선정, 이들 세 학문분야가 한국학, 언어학, 유교문화, 백제학 등 인문 5개 분야 전체보다 3% 포인트 많은 35%(35억원)의 지원금을 차지하게 됐다.
교육부가 지난 6월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BK21 사업을 공고할 때 인문·사회분야를 과학기술분야와 별도로 추진한 것은 『돈은 안되지만 중요한 기초 인문·사회분야를 집중지원하겠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이번 선정 결과를 보면 돈이 잘 되는 분야에 오히려 지원이 집중됐다. 경영·경제학의 경우 『어지간한 대학 교수면 업계에서 프로젝트로 주는 연구비가 넘쳐 주체를 못할 정도』라는 게 학계의 통설이다.
이광일기자
kilee@hk.co.kr
■서울大 사범대 수업공황?
두뇌한국(BK)21 사업에 참여하는 서울대 사범대 교수들의 자연대 학적이동 문제로 교육부와 교수들이 갈등을 빚고 있다.
8일 서울대 사범대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 BK21사업 지원 교수들의 학적을 과학기술사업단 해당 과로 옮기게 한 지원조건을 내세워 사범대 이과계열인 수학,물리 등 5개과 교수 25명중 BK21사업에 참여하는 14명에게 자연대 대학원교수로 옮기도록 요구했다. 황재기(黃載璣) 사범대 학장은 『수학교육과는 교수 5명중 4명, 물리교육과는 5명중 3명이 BK21사업에 참여키로 해 존립자체를 위협받을 판』이라며 『한시적인 사업때문에 수십년 전통의 학문기반을 흔드는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를 범하면 안된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울대에만 학적유지나 교수충원 등 예외를 인정해 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서울대 역시 『자연대 대학원 교수로 학부수업을 하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사범대 학생들은 『당장 내년 수업은 어떻게 하느냐』며 『이같은 조치는 사범대 죽이기의 일환』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안준현기자
dejav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