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은 꼭 건설해야 하나. 그렇다면 댐 건설에 따른 부작용은 어느정도일까.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댐들이 지구환경과 인간의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앗아가고 있다면 이를 방치할 것인가」동강 영월댐과 낙동강 갈수댐 건설에 대한 반대여론이 가시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댐전문가들이 한 데 모여 댐이 지구환경 전반에 미치는 심대한 악영향을 조명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일보사와 환경운동연합 주최로 서울 평창동 올림피아호텔에서 지난달 29일 개막, 1일 막을 내리는 「국제환경 NGO 댐심포지엄」은 댐건설 위주의 수자원정책에 일침을 가하고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아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수자원정책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댐으로 1억명 강제이주
댐 전문가들이 공개한 댐건설의 부작용은 충격적이다. 미국의 환경단체인 「국제 강 네트워크」대표로 29일 주제발표를 한 수잔 웡씨는 『전 세계적으로 4만5,000여개의 대형댐(한국에는 765개)들이 강을 가로막고 있다』며 『댐이 만들어지면서 강제이주된 사람들만도 1억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심지어 82년 과테말라에서는 댐 건설지역 주민들이 반대운동을 벌이며 보상을 요구했다는 이유로 고문과 폭행을 당해 어린이까지 숨지는 등 인권유린도 자행되고 있다고 그는 주장했다.
환경과 문화파괴도 이에 못지 않다. 웡씨가 공개한 국제댐위원회(ICOLD)자료에 따르면 댐건설로 인해 세계 담수어종의 20% 이상이 이미 멸종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있고, 수많은 유적과 유물 등이 수몰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이 추진중인 삼협댐이 건설되면 1,000종 이상의 고고학적 유물들이 수장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댐건설로 물흐름이 막히면서 말라리아 등 각종 질병의 매개체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론 지구온난화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댐 하나로 여의도 12배 땅 수몰
후진국의 댐건설이 가져오는 재앙은 더욱 큼직하다. 사회학 석사출신인 인도의 난디니 오자씨는 『인도에서는 나르마다강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30개의 대형댐과 135개의 소형댐이 지역주민들에게 적절한 보상도 하지않는 등 기본생존권마저 무시한 채 추진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들 댐중 가장 큰 사로마르댐 한 곳이 건설되어도 1억2,000만평(여의도면적의 약13배)의 숲과 농경지가 수몰되고 32만평의 농경지가 물에 잠겨 생태계가 파괴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를 막기 위해 외국의 환경단체까지 가세해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지만 인도정부의 「환경 무감각」을 치유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의 국제환경활동가인 토시코 니쿠라씨는 『일본에서도 56년부터 88년까지 1,035개의 댐이 건설되는 과정에서 정부에 맞선 반대운동이 끊이지 않았다』면서 『그 결과 댐건설에 착수하더라도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공사를 재검토하도록 하는 「공공공사통제법」를 제정하게 돼 댐 건설의 부작용을 상당부분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소개했다. 인도를 비롯한 후진국은 물론 동강댐과 낙동강갈수댐으로 여전히 홍역을 치르고 있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큰 대목이다.
■물수요를 줄이는 노력부터 기울여야
그렇다면 댐의 대안은 무엇인가. 댐의 기능은 물공급과 홍수조절 등 크게 2가지. 이시재 시민환경연구소장과 프랑스의 로베르토 에플씨 등은 『댐은 물공급을 늘려 수요를 확대하는 치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물절약과 재활용 등을 통해 수요를 줄이는 노력을 기울여 댐건설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댐 건설보다는 산림자원, 즉 녹색댐개발에 치중하고 도시계획을 친환경으로 세우는 것이 홍수예방에 훨씬 효과적』이라며 『새로운 밀레니엄에서는 댐에 대한 대안으로 물공급과 홍수예방이 동시에 가능한 신기술을 개발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주장도 1인당 물사용량이 선진국의 배를 넘고 댐으로는 제어할 수 없는 물난리가 반복되고 있는 우리현실에서 새삼 되새겨야 할 점이다.
김동영기자
dy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