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달라졌다. 국제금융통화기금(IMF)체제이후 개혁의 대상으로서 수세에 몰려 재계가 최근들어서는 정치권과 정부를 공개적으로 성토하는 등 공세적 자세로 전환했다. 재계에만 개혁을 강요할게 아니라 정치권과 정부도 개혁을 하라는 주장이다. 소위 「동반개혁」의 공세를 퍼붓고 있다.김각중(金珏中)전경련 회장대행이 11일 취임후 첫 기자회견을 통해 『기업이 경영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정치권이 도와달라』고 밝힌 이후 비공개적인 자리에서는 물론이고 공개적인 석상에서도 연일 정치권과 정부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손병두(孫炳斗)전경련 상근부회장과 전경련 산하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의 좌승희(左承熙)원장도 각각 13일과 16일 기자간담회와 정책세미나에서 정치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정치권과 정부의 동반개혁론」을 주창하고 나섰다. 이어 17일 전경련에서 개최된 기업윤리위원회(위원장 신현확·申鉉碻 전국무총리)에서는 『기업만 희생양이 될 수 없다』며 『기업이 깨끗해지려면 정부와 정치권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계, 왜 이러나
정치권과 정부에 대한 재계의 공세는 재벌개혁이 어느정도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 따른 자신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정치개혁과 공공개혁은 이렇다할 성과가 없어 국민적 지탄을 받고 있다. 재계는 이에 따라 김우중(金宇中)전경련회장의 퇴임을 계기로 『재계가 더 이상 밀려서는 안된다』는 공감대를 형성, 「공격이 최선의 수비」라는 취지에서 정치권과 정부에 역공을 가하는 분위기다.재계가 재벌개혁을 하는 동안 정치권과 정부는 뭘 했느냐는 지적이다.
■정치권과 정부의 반응
정치권과 정부는 전경련의 잇단 포문에 기습 공격을 받은듯 「어리둥절하다」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공격의 주포역할을 하고 있는 인물이 과거와는 달리 「거대재벌 이기주의」와는 거리가 먼 김각중회장과 신 전총리(기업윤리위원장), 남덕우(南悳祐)전총리, 이한빈(李漢彬)전부총리등 행정부출신의 거물급이어서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과거에는 재벌개혁의 직접적인 대상인 거대재벌의 총수들이 정치권과 정부를 공격, 재벌이기주의라는 비판을 받았고 오히려 정부에 강도높은 재벌개혁의 명분을 주었다. 그러나 재계의 이같은 공세 전환도 재벌이 갖고 있는 태생적 한계 때문에 「찻잔속의 태풍」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고 최종현(崔鍾賢)전경련회장은 문민정부 시절 정부의 경제정책을 호되게 공격했다가 곤욕을 치른후 기자들에게 『기업하는 사람은 정치권력과 싸워서 절대로 이길 수 없다』며 『기업의 천국으로 일컫는 미국에서도 US스틸이 케네디전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후 쇠락하고 말았다』고 착잡한 심정을 토로했었다.
박정규기자
jk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