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선진국이 잇달아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긴축의 바람이다. 1년전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우려 속에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중앙은행이 일제히 기준금리를 인하했던 것과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유로 11개국의 중앙은행인 유럽중앙은행(ECB)은 4일 기준금리(재조달금리)를 0.5% 포인트 인상, 올해 1월1일 유로화 출범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영국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도 이날 지난 9월에 이어 두번째로 기준금리가 되는 할인율을 0.25% 포인트 인상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이미 지난 6월과 8월 연방기금금리를 각각 0.25% 포인트씩 인상, 일본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이 모두 최근 몇달사이 기준금리를 0.5% 포인트씩 인상한 셈이 됐다. 특히 16일로 예정된 FRB 산하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한차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높아 앞으로도 주요 선진국의 금리인상 바람은 이어질 전망이다.
주요 선진국의 금리인상은 과도한 경제성장과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사전조치. 빔 다이젠베르흐 ECB 총재는 이날 금리인상과 관련, 『현재 유로 11개국의 물가동향과 통화량 증가추세를 보면 수개월내에 물가가 상승할 조짐이 있다』고 밝혔다. 유로권의 9월중 통화량 증가율이 ECB가 정한 적정선인 4.5%를 훨씬 넘는 6.1%에 달한데다 스페인 아일랜드 등의 물가상승률이 ECB의 억제목표 2%를 초과해 3%에 육박하고 있기때문이다.
그러나 주요 선진국의 잇단 금리인상에 대한 비난도 만만치않다. 무엇보다 국내적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두드러지지도 않는데도 중앙은행이 너무 성급하게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ECB의 금리인상 결정에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로권의 주축국가가 모두 반대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FRB 역시 금리인상의 근거로 물가상승률 통계보다는 과도한 주가상승과 부동산가격의 급등을 들고 있어 설득력이 약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주요 선진국의 금리인상이 국제유동성의 부족으로 이어질 경우 이제 비로소 나타나기 시작한 일본과 아시아 각국의 경기회복 조짐에 찬물을 끼얹을 우려도 있다.
박정태기자
jt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