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식품회사가 만들어 팔고 있는 두부가 미국에서 수입한 유전자변형 콩을 원료로 하고 있다는 한국소비자보호원의 발표로 국민들은 적잖은 불안을 느끼고 있다. 시중에서 팔리는 두부의 82%가 유전자변형 콩으로 만들어졌으니 우리의 식탁위에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매일 올라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98 곡물연도에 한국이 수입한 콩은 126만톤이고 이중 90%가 미국산이다. 농림부는 미국서 수입한 40만톤 정도를 유전자변형으로 보고 있다. 이번 소비자 보호원의 발표로 확인됐듯이 이 콩이 우리의 밥상위에 올라오고 있다. 우리의 식탁에서 콩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두부뿐 아니라 된장과 간장등 밑반찬의 원료가 콩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유전자변형 콩이 인체에 유해하다 또는 무해하다고 밝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입장은 아니다. 미국 식품의약청의 미국내 시판 승인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는 유전자식품의 안전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논쟁으로 들끓고 있는 점을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미국은 FDA(식품의약청)의 안전 승인을 내세워 유전자변형 농산물과 보통농산물을 분류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반면 농산물수입국인 유럽연합(EU)은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유해할 수 있다며 유통을 배척하거나 유전자변형 농산물과 그 가공품을 일반식품과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문제는 지난해 콜롬비아에서 열렸던 생물안전 의정서 국제회의에서 첨예한 이해대립끝에 미결 현안으로 남아 있다.
우리나라는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수입국이기도 하지만 유전자변형 농산물과 가축을 상품화하기에 이른 기술국이기도 하다. 따라서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은 우리 과학기술에 지워진 책무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중요한 것은 소비자가 밥상위에 올라 올 식품이 유전자변형 농산물인지 아닌지를 알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정부가 올바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이다. 정부가 우선 할 일은 이미 개정한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표시하는 일이고 이에 따라 가공식품에도 변형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일이다. 그리고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수출국이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구별하여 수출하도록 외교적 협력체를 구축해 나가는 일이라고 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