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우여곡절 끝에 12월 실시키로 했던 「버스·지하철카드 호환시스템」이 결국 반쪽 형태로 실행되게 됐다. 버스카드로 지하철을, 지하철겸용 신용카드로 버스를 탈 수 있는 이 시스템은 97년7월 전면 도입되려다 운영 기관및 관련업계의 이견으로 2년간 유보됐었다.그러나 시스템 설치 비용을 둘러싼 이해대립이 계속되자 서울시는 당초의 방침을 바꿔 버스카드로 지하철만을 이용하는 「부분 호환」을 12월부터 우선 시행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하철 카드의 버스사용을 추진해 온 관련 업계와 시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경과 및 문제점
버스운송사업조합은 96년 「선불제」형식의 버스카드를 도입했다. 반면 도시철도운영기관(철도청,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는 ㈜국민신용카드와 계약을 맺고 요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후불제」를 채택했다. 서울시는 양측을 중재해 카드호환시스템을 구축하려 했으나 시스템 설치비용 분담 문제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지하철에 버스카드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는 10억원이 드는 데 비해 지하철겸용 신용카드 판독 시스템을 버스에 갖추는 데는 79억원이나 소요되기 때문이다. 카드발급업체인 국민카드와 버스운송사업조합측은 상대방이 덩치 큰 79억원을 떠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는 6월 호환시스템 구축비용 89억원을 양측이 반반씩 분담하는 중재안을 내놓았으나 버스조합측이 반발하자 일단 도시철도운영기관이 지하철에 버스카드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비용을 떠맡도록 했다. 설치비용도 적고 버스카드의 이용자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
■부분 호환에 따른 문제점
지하철 교통카드를 구입한 150만명의 카드소지자들이 서울시의 당초 약속과는 달리 12월부터 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돼 반발이 우려된다. 특히 후불식 지하철 카드는 버스호환이 안되면 선불 버스카드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져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후불카드 개발에 200억원을 투자한 국민카드와 관련 기술개발업체는 막대한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대책 및 전망
서울시는 『관련 업계의 절충점을 찾아 내년 3월쯤에는 양측의 호환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지하철 카드의 버스 사용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한 지하철카드의 버스호환은 더 어렵게 될 것』이라며 『시가 79억원의 비용을 대고 버스카드 발행 및 운영을 공익기구에서 맡는 방법도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용기자
hu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