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네그로의 신유고 연방 탈퇴 여부를 둘러싸고 발칸반도가 다시 긴장하고 있다.신유고 연방을 구성하고 있는 두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25-26일 몬테네그로의 해안도시 스베티스테판과 베오그라드에서 잇달아 회담을 가졌으나 양측의 『완전한 입장차이』만을 확인했다.
회담이 사실상 결렬되자 밀로 듀카노비치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독립을 위한 조기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현지에서는 이르면 28일 몬테네그로 정부가 공식화폐를 신유고연방의 디나르화에서 독자적인 화폐나 독일 마르크화로 바꾸는 화폐 개혁을 단행할 것이라는 소문마저 돌고 있다.
세르비아측은 그러나 몬테네그로의 독립은 연방 헌법을 위배하는 것이라며 강경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보이슬라프 세셀리 세르비아 총리는 특히 『몬테네그로의 연방탈퇴는 전쟁을 야기할 것이며 이는 또다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개입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몬테네그로가 신유고 연방을 탈퇴하려는 표면적 이유는 경제난 해결이지만 기저에는 듀카노비치 대통령의 「반 밀로셰비치」성향이 깔려 있다.
친서방 개혁성향의 듀카노비치 대통령은 지난해 1월 집권 이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유고연방 대통령 체제를 「독재 정권」이라고 공격하며 외교·국방의 독립을 역설해 왔다. 그는 코소보 사태때에도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연방군 소집령을 거부했고, 연방재정 부담금과 방위비 납부 등도 거부하고 있는 상태다.
몬테네그로는 또 코소보 사태로 야기된 경제 제재조치로 인해 세르비아와 함께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 몬테네그로는 연방 탈퇴시 유류 금수조치와 항공기 운항 금지 등으로 야기된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잠재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인구가 68만명으로 세르비아의 6.5%에 불과한 몬테네그로의 독립은 쉽지 않을 전망. 최악의 경우 연방군의 무력진압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고, 경제적으로도 세르비아에 의존하고 있어 주민의 30%정도는 연방탈퇴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마케도니아 등의 독립으로 92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2개 공화국만으로 성립된 신유고 연방에서 몬테네그로마저 탈퇴하면 유고는 사실상 완전히 해체되는 셈이다.
박정태기자
jt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