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마톨로지」라는 낱말이 1960년대 처음 등장했을 때는 「문자학」을 가리켰다. 문자의 유형·계통·역사를 다루는 실증적 학문으로서 말이다. 프랑스 철학자 데리다(69)는 이 단어를 문자의 철학적 목적론적 성찰이라는 뜻으로 달리 사용하고 있다.1967년 출판된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Gramatology)」는 데리다 사상의 좌표점을 설정하는 대작이다. 96년 국내 번역본이 나왔다. 고려대 언어학과 김성도 교수가 옮긴 이 책은 6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과 난해한 글쓰기가 마치 독자의 지성과 인내력을 시험하는 것 같다. 소쉬르·레비스트로스·루소·하이데거 등 기존 문학이나 철학에서는 한 줄로 꿰기 힘든 이질적인 텍스트들을 종횡무진으로 읽어내는 데리다의 솜씨를 따라잡기란 무척 벅찬 일이다.
「그라마톨로지」는 한마디로 서구 형이상학 전통에 대한 비판이다. 데리다는 플라톤 이후 기존 형이상학이 지금 여기 있는 것을 1차적인 것으로 보는 이른바 「현전(現前)의 형이상학」이라고 비판한다. 현전(프레장스·presence)의 형이상학은 인종 중심주의· 소리 중심주의·로고스 중심주의이다. 이 전통에 따라 목소리는 영혼과 본질적·직접적 근접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 반면 문자언어는 존재의 반영 또는 그림자로 멸시됐다는 것이다. 궁극적인 무엇이 따로 있다는 믿음, 그것에서 출발하는 현전의 형이상학은 결국 모든 가치의 서열 체계를 매기려는 욕망이며 따라서 억압의 구조라고 데리다는 폭로한다.
여기서 데리다의 사상을 집약하는 「해체」의 개념이 등장한다. 해체의 궁극적 겨냥점은 「울타리 엿보기」이다. 형이상학은 닫혀진 원이 아니며 울타리너머에는 끊임없이 운동하는 복수의 진리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데리다에 따르면 해체는 파괴가 아니라 기존 사유 체계의 한계를 교정하는 것이다.
프랑스 저술가 장 뤼크 샬뤼모는 『데리다는 자기 자신의 문화를 재검토하고 있는 유럽인의 한 전형이고 전통적 제가치의 소멸을 분명하게 밝힌 증인』이라고 말한다. 데리다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철학자로 꼽힌다. 해체는 유행어가 됐다.
■자크 데리다
1930년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파리의 고등사범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65년 이후 이 학교에서 철학사를 가르쳤으며 70년대 중반부터 예일·존스홉킨스 등 미국 주요 대학에서 교환교수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목소리와 현상」「에크리튀르와 차이」「철학의 여백」「회화에서의 진리」등이 있다.
오미환기자
mho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