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12개 계열사에 대한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방안 확정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금융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워크아웃 계열사에 대한 실사작업 결과 드러나게 될 부실의 정도에 따라 해당 계열사의 생사는 물론 대우사태 해결의 성패가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기관들이 떠안아야할 손실규모에 따라 금융시장은 또 한번 요동을 칠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을 짓눌러온 「대우(大憂)먹구름」이 걷히게 될지, 더 큰 비바람을 맞게 될지 이번주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금융안정의 풍향계 역할을 하고 있는 금리는 일단 평온한 모습이다. 지난 20일 회사채금리가 3개월만에 8%대로 재진입하면서 자금시장은 겉으로는 대우사태 이전으로 되돌아간 분위기다. 「11월 대란설」이 확산되던 지난달 20일 회사채 금리가 연 10.82%까지 급등하던 때와는 판이한 양상이다.
이에 대해 금융전문가들은 의문부호를 표시하고 있다. 8%대의 금리수준이 「시장」의 자연스런 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10조원대에 이르는 채권안정기금의 대규모 물량공세에 의해 인위적으로 쌓아올린 「공든 탑」에 그칠수도 있다는 우려감이다. 특히 대우사태의 최대 뇌관인 부실의 실상이 정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안정은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문제는 대우의 손실규모. 전문가들은 대우부실의 척도가 되는 손실률이 20~30%선을 벗어나지 않을 경우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은행·투신·증권사 등 금융기관이 충분히 감당할수 있는 손실규모라는 분석이다. 가장 큰 불안요인이었던 대우부실이 투명하게 공개됨에따라 시장은 오히려 급속도로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불안감을 떨칠수 없다. 빚잔치를 하다보면 절반도 건지기 힘들 것이라는 비관론이 만만찮다. 대우 실사결과에 대한 불신은 금융시장의 새로운 불안요인이다. 시간에 쫓겨 허겁지겁 만든 실사가 부실투성이일 가능성이 적지않은데다 금융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실규모를 의도적으로 축소할지도 모른다는 의혹이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병주기자
bj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