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은 우리나라에서 두번째 인구밀집 지역인 영남의 젖줄이다. 따라서 낙동강의 수량을 풍부하고 맑게 만드는 것은 영남인들의 삶의 질과 직결된 문제일 뿐 아니라 국가적 과제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낙동강관리는 하류든 상류든 낙동강은 깨끗해야 한다는 전제위에 세워져야 한다.그러나 낙동강의 물관리는 수도권의 젖줄인 한강의 경우보다 훨씬 어렵다. 낙동강의 유량(流量)은 한강의 25%수준 밖에 안된다. 이렇게 유량이 적은 낙동강은 발원지인 강원도 탄전지대에서 안동과 대구를 거쳐 부산에 이르기까지 먼 거리를 흐르면서 수많은 도시와 산업시설을 통과하기 때문에 한강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오염에 취약하고 또한 그 규제가 힘들다.
낙동강 오염의 피해는 하류로 가면서 늘어나 최대 피해지는 인구 400만의 부산지역이 된다. 부산시민은 94%가 소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으로 볼 때 3급수인 낙동강 물금 상수원에서 취수한 물을 먹고 산다.
이런 맥락에서 환경부가 내놓은 낙동강 수계 물관리 대책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수질오염 총량 관리제, 물이용 부담금제, 수변녹지 조성등은 한강관리에서도 이미 도입했거나 실시예정인 제도로 낙동강 관리에서도 대안의 여지가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특히 물이용부담금제는 재원없는 물관리계획이 공염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물수요관리 측면에서 필요한 제도이다. 비용과 절제없이 깨끗한 물을 바라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낙동강 물관리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대구의 위천공단문제다. 인구 250만명이나 되는 대구직할시로서는 대구경제를 살리는 초석으로 생각하고 있고, 이 공단이 생길 때 낙동강 오염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또한 부산이다.
이런 상류와 하류의 지역갈등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문제는 해결방법이다. 정말 정부가 부산사람의 물걱정과 대구의 경제를 생각한다면 위천공단을 낙동강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산업재배치의 백년대계(百年大計)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우리 모두 하류에 산다』_ 올 3월 물의 날에 정한 유엔의 표어이다. 오늘날 낙동강에 이렇게 부합되는 말은 없다. 부산사람들이 좋은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대구사람들이 물관리를 잘 해줘야 한다. 대구사람들에게 깨끗하고 풍부한 낙동강물을 유지하기 위해 안동사람들은 댐으로 인한 기상변화에 따른 농산물의 피해등 갖가지 불편과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낙동강 물은 상류와 하류의 제로섬 게임으로는 맑아질 수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