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와 미 투자회사 리플우드의 장은(長銀) 인수교섭에서는 「국적 자본」보다는 「국민부담 최소화」가 잣대가 됐다. 리플우드와 마지막까지 경합을 벌였던 추오(中央)·미쓰이(三井)신탁은행 연합은 리플우드가 10억엔을 제시한 장은 주식 24억주의 매입금액으로 1엔을 제시했다. 또 리플우드가 1,200억엔의 유상증자를 약속한 반면 구체적 금액을 밝히지않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다.추오·미쓰이 연합은 대신 인수자금으로 1조5,000억엔의 공적자금을 추가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리플우드가 일본 정부에 대해 2,400억엔의 공적자금을 투입, 새 장은의 「우선주」 구입을 요구하고 인수자금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청의 검사에 따른 「적절한 금액」만을 요청한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배당이나 기업해산·정리과정에서 우선권을 갖되 주주총회 의사결정권이 없는 「우선주」 구입 자금은 회수가 가능하다. 앞으로 장은에는 4,000억엔 정도의 추가 공적자금이 투입될 전망이어서 추오·미쓰이 연합의 요구와는 국민부담면에서 최소 1조엔의 차이가 난다.
한편 리플우드는 1,200억엔의 유상증자 자금은 구미 5개국의 유력 금융회사와 일본기업에서 끌어모을 계획이어서 순수 투자자금은 10억엔에 머물 수도 있다. 장은이 재생에 성공할 경우 10억엔을 주고 산 24억 주는 수조엔의 가치를 갖게 되며 실패할 경우에는 10억엔을 날릴 수 있다.
도쿄=황영식특파원
yshw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