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채권금융기관이 대우그룹의 12개 주력계열사에 대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결정함에 따라 대우그룹이 사실상 완전해체의 운명을 맞게 됐다.대우그룹에 대한 본격적인 워크아웃이 시행되면 대우 계열사들은 3조원가량의 자금을 지원받아 일단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 정부와 채권단이 대우 구조조정의 주체로 전면에 나서게 된다. 그동안 정부와 채권단은 가급적 대우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토록 유도해왔다. 그러나 시장의 불안감이 갈수록 증폭되고 대우그룹 주요 계열사의 미결제어음이 4조원에 이르는등 유동성위기가 한계상황에 도달, 본격적인 워크아웃에 착수키로 했다.
■ 배경 대우는 7월19일부터 채무가 연말까지 연장되고 4조원의 자금이 지원돼 사실상 워크아웃 상태였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는 금융기관간의 구속성이 있는 협약에 따른 것이 아닌 정부의 창구지도에 의한 것이었다. 당초 정부와 채권단은 워크아웃으로 대우문제를 풀 경우 계열사 매각에 차질을 빚고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부담이 급증하는등 부작용이 클 것으로 우려했다.
그러나 한달이 지나도록 계열사 매각등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하고 시장의 불안감만 증폭됐다. 대우 구조조정이 어떻게 결말지어질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돼 시장 불안감을 키웠다. 그 사이 대우 계열사들의 미결제어음이 각 은행에 속속 쌓여왔다. 따라서 정부는 시장 불안을 가라앉히고 3조원가량의 유동성 자금을 추가지원하기 위해 본격적인 워크아웃을 시행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의미 채권단은 대우그룹 주요 계열사에 대한 출자전환을 통해 3조원가량의 신규자금을 지원, 회생가능한 계열사들은 일단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나게 됐다. 따라서 자금결제가 막혔던 협력업체들도 자금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워크아웃 대상기업은 국내 전 금융기관들이 가입해 있는 기업구조조정협약에 따라 자금지원이 이뤄지기 때문에 금융기관간 이해다툼을 조정하도록 돼 있어 자금지원이 쉽다. 하지만 워크아웃의 주요 과정인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대우 계열사의 소유권이 사실상 채권단으로 넘어가 대우 구조조정의 전권을 채권단이 쥐게된다. 경영진도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게되고 경우에 따라 일부 계열사는 과감히 청산될 수도 있다. 정부와 채권단이 대우구조조정의 전면에 나서게돼 대우그룹 해체, 즉 구조조정의 속도도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남은 문제 국내 채권단이 주도하는 워크아웃협약에 해외채권단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미지수다. 정부가 약속한 「동등대우」원칙을 지키려면 해외채권단도 워크아웃에 참여토록 해야하는데 해외채권단이 어떤 조건을 내세울 지가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워크아웃이 시행될 경우 금융기관들의 대우채권은 정상채권에서 부실채권으로 전락하는데다 3조원의 신규자금 지원부담까지 겹친다. 결국 공적자금 투입이 불가피해지는데 정부가 어떻게 공적자금을 마련할 지도 주요 과제다.
유승호기자
shy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