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로비」 의혹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가 마무리됐다. 사흘동안 청문회를 지켜본 국민은 국회의원들이 의혹의 진상을 속시원히 밝혀내지 못한 것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야당은 「준비된 증인」들을 상대로 날카로운 면모를 보이지 못했고, 여당은 변호인으로 착각할 정도로 본분을 저버린 모습을 보였다는 비난이 거세다.그러나 야당의 어설프고 빗나간 질문, 여당의 증인감싸기와 「청와대 방어」, 증인들의 거짓증언과 읍소작전 등 갖가지 꼴불견에도 불구하고 청문회는 중요한 성과를 거뒀다. 검찰이 「옷로비 의혹은 실체없는 소동」이라고 단정한 것과는 달리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혹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역설적으로 증인들의 엇갈린 증언을 통해, 같은 증인들을 수사한 검찰이 의혹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규명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청문회에서 다시 드러난 의문점, 즉 검찰수사의 문제점은 사건의 핵심적인 사실관계에 관한 것이다. 우선 옷로비 대상인 검찰총장 부인이 로비수단인 호피무늬 코트를 받을 뜻이 있었는지를 가리는데 중요한 코트 배달과 반납시기부터가 엇갈린다. 검찰은 총장부인이 옷가게에서 코트를 입어보고, 집에 배달된 날이 지난해 12월26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통일부장관 부인과 최순영회장 부인은 12월19일로 증언했고, 총장부인은 12월19일 입어보긴 했으나 배달된 것은 26일이라고 주장했다. 옷가게 주인도 26일로 주장했지만, 최회장 부인은 코트를 배달했다는 옷가게 주인의 전화를 19일 받았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이처럼 증언이 엇갈리는 이유를 기억력 탓으로 돌렸으나, 다른 여러 정황과 겹쳐 의혹은 한층 짙어졌다. 총장부인이 새로 산 다른 옷과 함께 배달된 코트를 들춰보지 않고 두었다가 사흘뒤 발견했다는 주장도 검찰은 그대로 수용했지만, 청문회에서는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 코트를 되돌려준 날짜도 사직동팀 내사때는 1월8일이었다가 검찰에서는 1월5일로 앞당겨졌지만, 1월7일 이후라는 증언이 나와 의혹으로 남았다. 특히 이즈음 옷로비소문이 나돌고 내사가 시작된 것과 관련, 말썽이 나자 옷을 반납한 것이라는 의혹이 커졌다.
이렇게 볼 때 앞으로의 과제는 국회가 국정조사 결과를 올바로 처리하는 것이다. 청문회가 진상을 규명하지 못한 것을 비판하지만, 국회가 범죄의혹을 완전하게 밝힐 수는 없다. 국정조사의 목적도 검찰을 포함한 정부기관이 이런 중대사안을 원칙대로 다뤘는지를 조사, 잘못된 부분에 대해 관계자 문책을 포함해 시정을 요구하는데 있다. 따라서 청문회에서 드러난 검찰수사의 문제점을 온전하게 국정조사 보고서에 담아 잘못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여야가 정략적 이해를 떠나 협력해야 한다. 그것이 국회의 존재의의를 확인케 하는 길이다. 모든 것을 특별검사제에 미뤄서는 안된다는 점을 미리 지적해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