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12월 완공목표인 서울 송파구 장지동 「송파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건립이 인근 경기 성남시와 주민 반발로 착공도 되기전에 진통을 겪고 있다. 송파구와 강동구 쓰레기를 처리하게 될 송파소각장은 지난달 도시계획시설(폐기물처리시설)로 결정돼 내년 12월 착공될 예정이다. 성남시는 그러나 입지선정 과정에서 사전협의조차 거치지 않았고,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성남시 주민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며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추진배경 및 경과 송파구는 김포 쓰레기매립지의 용량이 한계에 도달할 것에 대비, 95년12월부터 관내 쓰레기소각장 건립을 추진해 이듬해 6월 입지를 선정했다. 당초 하루 처리용량을 1,300톤으로 잡았으나 대규모 시설에 대한 주민반대와 재활용 쓰레기는 분리처리한다는 방침에 따라 500톤으로 낮췄다. 이는 현재 추진중인 강서(하루 1,500톤·종로,영등포 쓰리기 처리), 마포(1,000톤· 중구, 용산), 중랑(800톤·성북,동대문)소각장과 비교해 가장 작은 규모. 송파구는 다음달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청회 등의 절차를 밟아 내년 11월 시공사를 선정한 뒤 곧바로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왜 장지동인가 하루 처리용량 500톤의 소각장을 지으려면 대지 면적만 5만6,980㎡(1만7,266평)가 필요하기 때문에 입지 선정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송파구는 장지동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인데다 폭 700m이상의 그린벨트 녹지가 소각장을 막고 있어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췄다고 주장한다. 특히 소각장 간접영향권인 300m 이내에는 국군체육부대 등 군사시설을 빼면 상주인구가 46명, 1㎞내에도 장지동 3,515명, 성남시 수정구 북정동 2,288명에 불과하다는 것. 송파구에 따르면 장지동 주민의 83%는 소각장 건립에 찬성했고, 강동구의 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는데도 54%가 동의했다. 송파구 관계자는 『성남시와 떨어져 있는 문정동 훼밀리아파트 부근 녹지도 검토했으나, 성남비행장의 비행안전권역으로 묶여 있어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성남시 입장 성남시는 서울시와의 경계구역이자 성남의 관문에 해당하는 이 지역에 소각장을 만드는 것은 송파구의 횡포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입지선정을 둘러싸고 「피해당사자」인 성남시와 사전협의를 거치지 않은데 대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정구역상 소각장은 송파구내에 있지만, 피해는 성남시민이 대부분 떠안기 때문에 입지선정을 다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이 일대는 북서풍이 자주 불어 송파구민 보다 성남시민의 피해가 더 큰데도 우리 의견은 무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보건대 김남천(金南天·환경공업과)교수도 지난 16일 「송파소각장 환경영향평가토론회」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축산 농가에 위탁처리하거나 퇴비화시키는 사업만으로도 별도의 소각장을 건설할 필요가 없다』며 성남시를 거들었다.
전문가 의견 전문가들은 대부분 송파소각장의 건립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성남시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쓰레기 소각장의 필요성이 인정된 만큼 건립해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이동훈(李東勳) 서울시립대 교수(환경공학부)는 『소각장은 과거와 달리 환경 오염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첨단시설을 갖추고 있다』며 『성남 시민들이 입게 될 피해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지만, 장지동의 입지 조건으로 볼 때 별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수기자
jslee@hk.co.kr
한창만기자
cmha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